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방사성 폐수 속 세슘만 잡아내는 미세 수중로봇 최초 개발



대전

    방사성 폐수 속 세슘만 잡아내는 미세 수중로봇 최초 개발

    원자력연 "방사성 폐수 정화속도 60배 빨라"
    화학반응으로 유영·원격 이동제어 가능

    방사성 세슘 제거를 위한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 개념도.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2011년 후쿠시마원전 사고 이후 방사성 폐수의 안전한 처리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이 폐수 속을 헤엄치며 방사성물질인 세슘만 제거하는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해체기술연구부 박찬우 박사팀이 원격 제어로 방사성 폐수 속을 유영하면서 세슘을 감지·제거하는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방사성 폐수는 원자력시설의 운영과 사고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폐수 속에는 세슘, 코발트 등 다양한 핵종이 포함돼 있다.

    특히 방사성 세슘은 물에 잘 녹아 외부 유출 가능성이 높지만, 제거가 까다롭고 반감기도 30여 년에 이른다.

    또한 감마선을 방출하고 체내 흡수 시 근육 등에 축적될 수 있다. 환경에 유출될 경우 장기간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방사성 폐수 정화 과정에서 중요한 핵종 중의 하나로 평가된다.

    세슘 제거에 주로 사용되는 흡착제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까다로운 준비가 필요할 뿐 아니라 사용한 흡착제와 설비 자체가 2차 폐기물로 남는 한계가 있다.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의 전자현미경 사진.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이번에 개발한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은 머리카락 두께의 1/10인 약 7㎛(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육안으로는 파우더처럼 보인다.

    세슘을 흡착하는 페로시안화 구리를 입힌 이산화규소 마이크로입자가 기본 몸체로 입자의 한쪽 면에는 백금 촉매와 니켈을 코팅해 운동 능력을 갖췄다.

    방사성 폐수에 미세 로봇과 과산화수소를 함께 넣으면 백금 촉매와 과산화수소가 화학적으로 반응하며 산소 방울이 생기고 이를 추진력으로 삼아 움직인다.

    또 자성을 가진 니켈의 특성을 이용해 외부에서 자기장으로 로봇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물 속에서 이동하며 방사성 세슘을 빠른 속도로 제거할 수 있는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은 움직이지 않는 기존의 수동형 흡착제에 비해 세슘 제거 속도가 60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폐수 속에 세슘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나트륨과 같은 경쟁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98% 이상의 세슘을 성공적으로 제거해 폐수 정화에 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성 폐수의 특성상 작업자의 피폭을 예방하는 문제도 로봇이 외부에서 자기장을 조절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특히 세슘 포획 후 미세 로봇만 회수해 방사성폐기물로 분리·처분할 수 있어 효율적이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박찬우 박사가 미세 수중로봇을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있다.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박찬우 박사는 "미세 수중로봇은 방사성 폐수 처리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뿐 아니라 수계 환경 정화, 산업 폐수 정화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며 "보다 더 친환경적인 추진체를 개발하고 원격제어기술을 보완하는 등 2023년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를 보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원자력연구센터 사업으로 수행했다. 결과는 환경 분야 저명 학술지인 '유해물질 저널' 5월호에 게재됐다. 지난달 27일 관련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