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52시간제 효과 뚜렷…제조업 초과노동시간 1.1%↓



경제 일반

    52시간제 효과 뚜렷…제조업 초과노동시간 1.1%↓

    사업체 종사자 수 1804만여명…통계 작성 이래 2번째로 1800만명 넘어

     

    주52시간 노동시간 상한제가 적용되면서 지난 2월 제조업 초과노동시간이 전월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월 상용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노동자 1인당 월평균 노동시간은 140.4시간으로 전년동월(148.1시간)대비 7.7시간(-5.2%) 감소했다.

    주52시간제가 적용된 300인 이상 사업체만 보면 141.8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7.7시간(-5.2%) 줄었다.

    다만 같은달 노동일수(17.1일)가 전년동월대비 0.9일(-5.0%) 감소한 영향이 컸다.

    상용노동자 초과노동시간만 놓고 보면 11.1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3시간(2.5%) 증가했지만, 보통 장시간 초과노동시간에 노출되는 제조업은 19.2시간으로 0.2시간(-1.1%) 줄었다.

    규모 및 산업별 초과노동시간 동향

     

    특히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 산업중분류 중 전년도 초과노동시간이 길었던 상위 5개 업종(식료품, 음료,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비금속 광물제품, 금속가공제품)은 대부분 큰 폭으로 초과노동시간이 줄어들었다.

    이 가운데 지난해 초과노동시간이 43.9시간에 달해 가장 길었던 식료품 제조업은 지난 2월에는 36.3시간으로 7.6시간 줄어들었다.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은 31.3시간에서 21.7시간으로 9.6시간이나 감소해 낙폭이 가장 컸다.

    지난 1월부터의 누계로 따져봐도 주52시간제 효과가 뚜렷했다. 1~2월 노동자 1인당 월평균 총노동시간은 156.7시간, 300인 이상은 157.8시간으로 모두 전년동대비 4.7시간(-2.9%)씩 각각 줄었다.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지난 2월 상용노동자 1인당 월평균 노동시간은 145.5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7.9시간(-5.1%), 임시·일용노동자는 88.0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7.2시간(-7.6%) 감소했다.

    임금 부문에서는 전체 노동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64만 4천원으로 전년동월(376만 8천원)대비 3.3%(-12만 4천원) 감소했다.

    다만 이는 전년에는 주로 2월에 지급됐던 명절상여금이 올해는 1월부터 지급돼 분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상용노동자의 임금은 386만 6천원으로 전년동월(401만 6천원)대비 3.7%(-15만원) 감소한 반면, 임시·일용노동자는 138만 8천원으로 전년동월(130만 9천원)대비 6.0%(7만 9천원) 증가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사업체의 경우 319만원으로 전년동월(326만 8천원)대비 2.4%(-7만 8천원) 감소했고, 300인 이상은 607만 7천원으로 전년동월(652만 5천원)대비 6.9%(-44만 8천원) 줄어 낙폭이 더 컸다.

    노동부는 이처럼 300인 이상 사업체의 감소폭이 더 컸던 이유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등의 명절상여금 지급시기가 바뀌고, 코크스·연탄 및 석유 정제품 제조업에서 성과급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체종사자 수 동향

     

    고용 부문을 보면 지난달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종사자 수는 1804만 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1만 2천명(1.8%) 증가했다.

    이는 2009년 6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지난해 11월(1800만 8천명)에 이어 두번째로 1800만명을 넘어선 기록이다.

    종사상 지위로는 상용노동자 수가 26만 6천명(1.8%) , 임시·일용노동자 수는 5만 5천명(3.0%)씩 각각 증가한 반면, 기타종사자 수는 8천명(-0.8%)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1만 1천명, 7.0%), 도매 및 소매업(4만 6천명, 2.1%),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3만 7천명, 3.8%) 등에서 주로 늘었다.

    특히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2017년 8월 이후 8만명을 넘은 증가폭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도매 및 소매업도 2017년 10월 1만 8천명 증가 수준으로 저점을 기록한 이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높은 제조업은 2만 2천명 증가했고, 이 가운데 불황을 겪고 있는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1천명 감소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