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은둔' 예고한 野 주자들, 무엇을 노리나



국회/정당

    '은둔' 예고한 野 주자들, 무엇을 노리나

    홍준표 11일 美 출국, 안철수 '고별 회견' 예고
    '후일 도모' 암시…정계은퇴論 일축
    '총선 공천' 걸린 당권, '야권 개편' 등 '큰 판' 노리는 듯

    자유한국당 홍준표 전 대표와 바른미래당 안철수 전 의원 등 지난 지방선거의 패장들이 잇따라 작별을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선택한 은둔은 '잠시만 안녕'일 뿐 정치권에서 아예 손을 떼려는 것은 아니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홍 전 대표가 '마지막 페이스북 정치'라며 인용한 조지훈의 시 '낙화'에는 "묻혀서 사는 이의 고운 마음을 아는 이 있을까 저어(두려워) 한다"고 돼 있다. 오는 11일 미국으로 떠나 숨어 지내겠지만, 그 뜻을 알아달라는 얘기와 같다.

    안 전 의원도 지난달 27일 당직자들을 모아놓고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수상을 인용해 "실패가 완전히 마지막도 아니다"고 했다. 여의도에선 "당 안팎의 정계은퇴 요구를 일축했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들은 무엇을 더 하려고 훗날을 기약하는 것일까. 측근들은 1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섣부른 예측을 경계하면서도 향후 활동 가능성을 부정하진 않았다. 홍 전 대표는 측근들에게 지난 선거 과정 '막말' 등 독단 논란을 사과했다고 한다. 안 전 의원은 7월초 향후 계획을 설명할 기자회견을 준비 중이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전 대표. (사진=윤창원기자/자료사진)

     

    ◇ 한국당 '전당대회 시점' 논란…洪과 비박계, '숨은 결탁'

    한국당은 지방선거 참패의 후유증을 치유하지 못하고 계파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논쟁의 표면적 쟁점은 선거 패배의 책임 소재지만, 새 지도부를 구성할 전당대회 시점이 진짜 시빗거리다. 친박계는 조속한 전당대회를, 비박계는 최대한 늦추자고 주장하고 있다.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계파 간 유‧불리 때문이다.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로 대변되는 비박계의 주류는 복당파다. 이들은 과거 여당 의원이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한 뒤 탈당해 바른정당을 창당했다. 일부는 대선 전에, 나머지는 대선 후 복당했다.

    복당파 중 김 원내대표를 비롯해 홍문표, 장제원 의원 등은 홍 전 대표와 결탁해 사무총장, 수석 대변인 등 당직을 맡아 지방선거를 치렀다. 선거를 계기로 전면에 나섰던 복당파지만, 아직 당의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

    홍 전 대표와도 이해관계가 맞는 부분이다. 홍 전 대표의 경우 아들이 있는 미국으로 떠나 최소 2~3개월 '암약'할 것으로 전해졌다. 연말을 활동 재개 시점으로 잡고 있다는 얘기다. 김 원내대표가 일단 비상대책위원회를 띄운 뒤 전당대회 시점을 연말, 내년 초로 미루려는 것이 홍 전 대표 입장에서 시간을 벌어주는 효과가 된다.

    내년 초쯤 판이 커진 전당대회에 출마를 원하는 인물들로는 자신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김무성 의원과 김 원내대표 등 비박계 인사들과 김태호 전 경남지사, 김문수‧남경필 전 경기지사 등 지난 지방선거에 차출돼 '선수'로 뛴 인사들이 거론된다.

    반면 친박계로 대표되는 잔류파는 복당파가 당권을 잡는 데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시간이 갈수록 탈‧복당을 반복한 복당파와 잔류파의 구도가 해묵은 '친박 VS 비박' 갈등으로 치환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거물급 인사들이 복귀하기 전 당권을 접수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나경원‧심재철‧정우택 의원 등 전당대회를 원칙대로 실시하자는 의원들의 공통점은 친박계의 지원을 받는 '잔류파 중진'이라는 점이다.

    잔류파와 복당파 모두 당권을 간절히 원하는 것은 차기 총선 공천권 때문이다. 2020년 4월에 실시되는 총선으로부터 당 대표 임기인 2년을 감안해 역산하면 차기 당 대표는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고, 이것을 발판으로 2022년 3월 대선에 도전하겠다는 구상이 깔려 있다.

    안철수 전 의원.(사진=윤창원기자/자료사진)

     


    ◇ 바른 VS 미래…예고된 분란도 安의 '기회'

    한국당 소속 인사들이 전대를 재기의 기점으로 노리고 있다면 안 전 의원의 행보는 불안정한 바른미래당의 앞날과 맞물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바른미래당과 한국당의 차이점은 당권 이양 과정에 있다. 한국당은 김 원내대표가 권한대행이 되긴 했지만, 비대위를 띄워 비상당권을 외부인사에 맡길 예정이다. 반면 바른미래당은 지선 당시 원내대표였던 김동철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고 김관영 의원이 원내대표에 선출됐다.

    선거 패배의 책임과 관련, 당 지도부가 일괄 물러나고 새로 판을 짜는 방식 대신 국민의당 출신 인사들이 당직을 이어받는 모양새가 됐다. 한국당이 비대위라는 과도기 체제를 예고한 반면, 바른미래당은 8월에 전대를 실시할 계획으로 '변화'보다 '안정'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같은 수습책에 대해 바른정당 출신들을 중심으로 "반성하지 않는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학재 의원은 "한국당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언론이) 예의주시하고 있는데 (비해) 바른미래당은 서글프게도 여전히 관심 밖"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연찬회에서 '진보'가 선언문에 채택됐고, '개혁보수'가 비판의 대상이 된 데 대해 유승민 전 대표와 지상욱 정책위의장 등이 강한 반감을 품고 있는 점이 불안한 지점이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출신들이 결국 화학적 결합을 이뤄내지 못한 채 결별의 길을 걷게 될 경우 안 전 의원의 구원등판 요구가 생겨날 수 있다. 안 전 의원은 지난해 8월, 대선 패배 뒤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당을 구해달라"는 요구와 '반발'이 엇갈린 상황에서 전대에 출마해 국민의당 당권을 쥔 바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