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보수통합 주춤?…김무성, 귀국일정 28일 예정대로



국회/정당

    보수통합 주춤?…김무성, 귀국일정 28일 예정대로

    당초 26일 前 '탈당 예고' 조기 귀국 관측…역풍에 '숨 고르기' 들어간 듯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바른정당을 탈당해 자유한국당에 입당하려는 통합파의 결행 시점이 미뤄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통합파의 수장인 김무성 의원은 당초 결의 시점을 11‧13 전당대회 후보등록 마감 시한인 오는 26일 이전으로 예고했었다. 국정감사 일정으로 해외 체류 중인 김 의원은 이 시점에 맞춰 조기 귀국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으나, 예정대로 올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심경의 변화가 읽히는 대목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지난 14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국회 외통위 국감을 위해 이날 영국으로 출국한 김 의원의 일정이 당겨지느냐는 질문에 "그럴 이유가 없다"고 답했다. 당초 오는 28일 예정됐던 귀국 시점이 23일쯤으로 앞당겨질 것이란 말이 나돌았지만, 현재까진 사정을 변경할 변수가 없다는 얘기다.

    이 관계자는 "당 안팎에서 자꾸 26일 이전 김 의원이 탈당할 것처럼 얘기하는데 사실과 다르다"면서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여러 상황들을 점검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이 보수의 미래에 대해 걱정이 많은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지난 11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당과의 당 대 당 통합이 불발될 경우 부분통합(탈당)의 불가피성을 거론하며, 그 시점에 대해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이달 말 바른정당 11·13 전당대회 후보 등록(10월 26일) 전까지 통합 문제를 결론 내야 한다"고 말했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소속의 3선 의원들이 1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보수대통합 추진 모임을 갖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때문에 한국당이 오는 17~19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당적 제명 문제를 일단락 짓고 난 이후부터 홍준표 대표가 미국으로 떠나는 오는 23일 이전까지인 이번 주가 한국당과 바른정당 통합의 분수령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의 제명과 동시에 진행 예정이었던 친박 핵심 서청원·최경환 의원의 출당 징계가 사실상 무산되면서 일정 변경의 변수가 생겼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이번 주 최고위에서 친박 두 의원의 자진 탈당을 권고할 예정이지만, 구속력이 없다.

    김 의원으로선 이번 주 논의가 급진전될 경우 다음 주초(23일) 국감 일정을 포기하고 귀국해 탈당을 감행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 의원 측 관계자는 "긴박한 상황 변화가 생기면 이번 주말이라도 귀국할 수 있게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의 측근이면서 보수통합추진위원인 한국당 홍문표 사무총장은 11월 5일을 통합 논의의 데드라인으로 설정했다. 11월 13일 바른정당 전대에서 유승민 의원이 당선될 경우 통합 논의가 힘들어지는 점을 감안한 일정 제시다.

    한국당의 통합파 다른 의원은 일정이 뒤로 밀리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그렇지 않다. 대세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바른정당 분당(分黨) 사태를 기정사실화했다. 그러나 통합 시점에 대한 관측은 '23일 이전', '26일 이전', '11월 13일 이전'으로 계속 미뤄지고 있다.

    통합 움직임이 주춤하는 배경으론 여론의 역풍이 거론된다. 한국당에서 서청원‧최경환 의원 등 핵심 친박계에 대한 징계 계획을 철회했음에도 복당하는 것은 지난 탄핵 및 대선 정국을 거치며 탈당했던 바른정당 의원들로선 자기부정과 같은 결과다.

    때문에 김 의원이 결집했던 9명 가량의 통합파 의원들 간 탈당의 조건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 측이 시간을 더 갖겠다고 한 발언의 배경엔 친박 청산 없이 복당해야 하는 난점을 설득해보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

    명분이 부족한 탈당과 복당에 대한 여론의 역풍은 실제 지난 대선 과정에서 일어났었다. 바른정당 의원 13명이 탈당해 한국당으로 돌아갔지만, 한국당의 지지율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오히려 당시 바른정당 유승민 대선 후보의 지지율을 반등시켰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