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통일부, 남북 군사회담·적십자회담 공식 제안 방침



통일/북한

    통일부, 남북 군사회담·적십자회담 공식 제안 방침

    "베를린 구상 이행 계획 마련 중"

    6일 독일 베를린에서 연설하는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남북군사 실무회담과 남북 적십자 실무회담을 공식 제안할 방침이다.

    통일부 이유진 부대변인은 7일 정례 언론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남북간 과제들을 이행하기 위해서 후속조치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회담과 적대행위 중단을 위한 남북 군사실무회담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문 대통령의 베를린 연설을 실현할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해 다음 주에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대변인은 "국민적 합의와 여야 정치권과의 소통을 바탕으로 북핵문제 해결 및 남북관계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대통령의 대북정책 구상을 구체화하고 실행력을 강화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미국 등 유관국과 국제사회의 지지와 이해를 강화해 나가기 위해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이어 "한반도 평화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서는 남북간의 협력이 필수적인 바 한반도 평화를 위한 우리의 적극적 제안에 대한 북한의 긍정적인 호응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남북 간 회담 제안은 과거에 판문점 채널 등을 통해 전화통지문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이뤄졌지만, 지금은 모든 통신채널이 끊긴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회견이나 브리핑 등을 통해 발표하는 형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전날 독일 쾨르버 재단 연설에서 휴전협정 64주년인 7월 27일을 기해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 행위를 상호 중단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는 확성기 방송과 선전물 제거 등을 뜻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남북 군사 당국 간 회담이 필요하다.

    문 대통령이 제안한 7월 27일에 맞춰 적대행위를 금지하려면, 앞으로 1∼2주 내에는 군사회담이 개최되어야 하고, 오는 10월 4일 추석에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8월말까지는 남북 합의가 이뤄져 한다.

    통일부 당국자는 "대통령이 이미 적십자회담 개최를 사실상 제안했지만, 회담 일정 등을 구체적으로 적시해 북한에 제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그 밖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등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더욱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한 만큼 이를 실현할 로드맵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작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