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인골 2구 발굴…인신 제의 추정 국내 첫 사례 나와



문화재/정책

    인골 2구 발굴…인신 제의 추정 국내 첫 사례 나와

    경주 월성 성벽서 인골 2구, 토우, 목간 등 발굴

     

    국내에서 최초로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제의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2015년 3월부터 진행 중인 경주 월성(사적 제16호) 정밀 발굴조사의 중간 조사결과를 16일 월성 발굴현장에서 공개한다.

    경주 월성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 중 서쪽 성벽의 기초층에서 제물로 추정되는 인골 2구가 출토됐으며, ‘소그드인’으로 추정되는 터번을 쓴 토우가 나오고, 병오년(丙午年) 간지가 정확하게 적힌 목간이 발굴된 것으로 확인됐다.

    월성 성벽은 훍으로 만든 토성(土城)이며, 성질이 다른 흙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쌓아올리는 성토(盛土) 기술로 축조했다.

    월성 서쪽에 있는 서성벽을 조사한 결과, 축조연대는 5세기 전후로 판단되며, 국내에서 최초로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제의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인골은 성벽을 본격적으로 쌓기 직전인 기초층에서 두 구가 출토되었다. 한 구는 정면으로 똑바로 누워 있고, 다른 한 구는 반대편 인골을 바라보게끔 얼굴과 한쪽 팔이 약간 돌려져 있다. 두 구 모두 얼굴 주변에 수피(樹皮, 나무껍질)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인골이 확인된 국내 사례는 월성이 최초이다. 주거지 혹은 성벽의 건축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습속은 고대 중국(BC 1,600~1,000경, 상(商)나라)에서 성행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제방이나 건물의 축조와 관련된 인주(人柱) 설화로만 전해져 오다가 이번에 그와 같은 사실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셈이다.

    인주 설화는 사람을 기둥으로 세우거나 주춧돌 아래에 묻으면 제방이나 건물이 무너지지 않는다는 내용의 설화이다.

    '고려사' 충혜왕 4년(1343년)에 전하기를 ‘왕이 민가의 어린아이를 잡아다가 새로 짓는 궁궐의 주춧돌 아래에 묻는다’라는 유언비어가 돌았다고 한다.

    현재는 발굴된 이들 인골을 대상으로 자연과학적 연구를 하고 있다. 인골의 성별‧연령 등을 확인하기 위한 체질인류학적 분석과 DNA 분석, 콜라겐 분석을 통한 식생활 복원, 기생충 유무 확인을 위한 골반 주변 토양 분석 등이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이 인골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 당시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상을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월성 북쪽 면에 길게 늘어서 있는 해자(垓字 :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못)에서 출토된 흙으로 형상을 빚은 토우(土偶)들이 여럿 출토됐는데, 모양은 사람과 동물, 말 탄 사람 등 다양하지만, 이중 터번을 쓴 토우가 나와 주목할 만하다.

    이번 터번 토우는 눈이 깊고, 끝자락이 오른쪽 팔뚝까지 내려오는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있다. 팔 부분이 소매가 좁은 카프탄(터키, 아라비아 등 이슬람문화권에서 폭넓게 착용되는 셔츠양식의 긴 의상)을 입고 있으며 허리가 꼭 맞아 신체 윤곽선이 드러나고 무릎을 살짝 덮은 모양인데, 당(唐)나라 시대에 호복(胡服)이라고 불리던 소그드인 옷과 모양이 유사하여 페르시아 복식의 영향을 받은 소그드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6세기 토우로 추정되기 때문에 현재까지 출토된 소그드인 추정 토우 중 가장 이른 시기로 판단된다.

     

    또 월성 해자에서는 목간도 총 7점 나왔다. 이들 목간을 통해 ▲ 목간 제작 연대와 해자를 사용한 시기 ▲ 신라 중앙정부가 지방 유력자를 통해 노동력을 동원‧감독했던 사실 ▲ 가장 이른 시기의 이두(吏讀)사용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동물뼈, 식물유체, 목제유물 등 다양한 자료들이 해자에서 출토되었다. 동물뼈는 돼지, 소, 말, 개가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 특이한 것은 곰의 뼈가 출토된 것이다. 곰은 신라 시대 유적에서 최초로 확인된 동물유체로서, 유입과정과 사용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측은 전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신라 천 년 궁성인 월성의 체계적 복원을 위한 철저한 고증연구와 학술 발굴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며, "아울러 발굴조사의 새로운 유형을 만들기 위해 정기적인 성과 공개, 대국민 현장설명회, 사진 공모전, 학생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여 국민과 함께 발굴성과를 공유하고 꾸준히 소통할 것이다"고 밝혔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