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중국, 사드 보복 가속화…속타는 지자체 “어찌하나?”



사건/사고

    중국, 사드 보복 가속화…속타는 지자체 “어찌하나?”

    • 2017-03-08 05:00
    (사진=자료사진)

     

    중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을 가속화하면서 국내 주요 관광지를 중심으로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한때 긴 줄을 서야 닭갈비를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중국인 관광객들로 크게 북적였던 강원도 춘천의 닭갈비 골목은 사드 보복의 직격탄을 맞았다.

    A 닭갈비집은 지난해 하반기까지만 해도 하루 평균 2백명 넘는 중국인 손님들로 발디딜 틈이 없었지만 요즘은 중국인 손님이 10명도 채 되지 않는다.

    B 닭갈비집은 1인분에 닭갈비와 볶음밥, 미역국까지 주며 기존 1만원에서 7천원으로 가격을 내려 중국인을 유치했지만 이번 달에는 단 한 팀도 오지 않았다.

    임대료를 내지 못해 문을 닫는 음식점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닭갈비 골목의 C식당 주인은 “식사 시간인데 손님이 한 테이블밖에 없다. 집세 빼고 인건비 빼고 우리는 어떻게 사느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충북 청주의 관광시장도 한파를 맞고 있다. 이 지역의 한 여행사 대표는 “올해 3월부터 중국 닝보~청주간 주 3회 연간 8400석이 취소됐고, 하얼빈에서 3천명이 오는 것도 취소됐다”고 밝혔다.

    하절기 운항 시작을 앞둔 이맘때면 청주의 관광·항공업계는 중국 관광객을 우리나라로 실어나를 전세기 운항 준비 작업에 한창이었지만 올해는 이런 움직임이 아예 없다.

    충북도 관계자는 “청주공항을 통해 입국하던 중국 관광객이 발길을 끊으면, 도내 중저가 숙박업계의 피해가 가장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이 갈수록 노골화되면서 국내 주요 관광지의 지역경제가 휘청이고 있는 것이다.

    항만과 공항을 두고 있는 부산과 인천, 제주 등 지방자치단체들의 걱정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부산관광공사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크루즈관광객을 포함해서 중국인 관광객이 1백만명 정도 들어왔는데, 올해는 60~70만명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인천 항만업계는 올해 인천항에 입항할 중국발 크루즈선 29항차(7만5천명) 중 어느 정도나 취소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한령'은 크루즈뿐만 아니라 총 10개 항로가 운항되고 있는 한·중 카페리 여객에도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중국 의존도가 98%에 달하는 제주의 크루즈 관광 분야도 심각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도내 여행사 21곳이 중국 현지 모객 여행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중국 정부의 한국 관광 금지 조치로 6일 기준으로 11만1천명이 제주 여행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각 지자체는 사드대응 별도 조직을 꾸리는가 하면, 민간교류사업 확대나 해외시장 다변화와 같은 대책을 내놓는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제주도는 원희룡 제주지사를 본부장으로 한 대책본부를 6일부터 가동하고 관광시장 체질개선과 다변화를 위한 장단기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인천시의 경우 정무경제부시장을 팀장으로 군·구, 인천관광공사, 인천항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사드 대응전담팀을 구성해 중국 동향 정보와 기업 애로사항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하지만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절반 가량이 중국인인 상황에서 그 어떤 대책도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부산관광공사는 이미 지난해 7월 사드 문제가 불거질 때부터 중국에 집중됐던 관광객 유치 전략을 바꿔 일본과 홍콩, 대만,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인도 등지로 다변화했지만 성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더욱 큰 문제는 사드 보복 조치가 이제 시작이라는데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