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김홍걸 "박지원, 내 어머니 이용 말라"



정치 일반

    김홍걸 "박지원, 내 어머니 이용 말라"

    "어머니, 박지원 대선출마 권유한 적 없어"

    - 절차적 정당성 부족, 비대위 한계
    - 전당대회 연기는 호남 포기
    - 김종인, 외부에서 온 분이 독선적
    - 김종인 비례 2번, 토사구팽 부적절
    - 박지원 '부덕의 소치' 발언 어리둥절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홍걸(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장)

    무너진 지지 기반, 즉 호남을 얻기 위해서는 전당대회를 서둘러 치르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김종인 비대위 체제를 좀 더 이어가는 게 나을까요? 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 개최 여부를 놓고 지금 한창 논란 중입니다. 그런데 특이한 건 전당대회를 빨리 하자는 쪽이나 늦추자는 쪽이나 모두 호남 민심을 얘기합니다. 호남이 그렇게 원하고 있다는 거죠. 가장 강하게 조기 개최를 주장하는 분, 특히 호남 민심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 분. 더불어민주당의 김홍걸 국민통합위원장 연결해 보겠습니다. 김홍걸 위원장님, 안녕하세요.

    ◆ 김홍걸>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전당대회를 늦추는 건 왜 안 된다고 보시는 건가요?

    ◆ 김홍걸> 현재 비대위 자체가 중앙위 의결을 거치지 않은 편법적으로 만든 기관이고요. 어쨌든 비정상적인 비대위 체제가 오래 가는 것이 일단 문제가 많다고 봅니다.

    ◇ 김현정> 그런데 총선을 워낙 잘 치렀기 때문에 이 비대위가. 그래서 뭐 규정에 의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더라도 다들 그냥 암묵적으로 인정을 해 준 거 아닌가요? 이 체제가 계속 가는 것을?

    ◆ 김홍걸>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요. 지금 총선을 잘 치렀다고 하셨는데 그것은 사실 여러 가지 반사이익을 얻은 것이지. 중앙당이 잘해서 뭐 총선을 잘 치렀다고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당헌상 대표가 물러났을 때 2개월 내에 해야 되는데 선거 때 임시 전당대회 할 수 없었던 부분이 있던 것은 사실이고. 혁신안에는 총선 직후에 하게 되어 있거든요. 그런데 그쪽에서는 당무위에서 하겠다. 중앙위에서는 통과시킬 자신이 없으니까 마치 헌법을 국회에서 안 고치고 국무회의에서 고치겠다는 소리나 마찬가지거든요. 계속 그렇게 편법을 쓰면서 어떻게 국회에서 감시 감독할 공무원들에게 법과 원칙을 지키라는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 김현정> 그런데 비대위 체제가 좀 더 유지돼야 된다고 주장하는 분들, 즉 전당대회를 늦춰야 된다고 주장하는 분들은 이런 얘기를 합니다. 문희상 의원도 이런 얘기 하셨던데 지금 원칙을 앞세우면서 전당대회를 빨리 개최하자고 하면 외부에서는 김종인 대표를 이용만 하고 저렇게 내쫓는구나 토사구팽으로 비춰진다는 겁니다. 다시 친노, 친문 주류계파가 나타나서 토사구팽하는구나 이런 이미지를 준다는 건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 김홍걸> 토사구팽이라는 표현 자체가 부적절하고요. 그분이 이미 비례대표 2번 받으시지 않으셨습니까? 우리당에서 나가라고 한 것도 아니고. 또 처음부터 당 내외의 사람들은 그분이 비상 상황에서 잠깐 도와주러 오신 걸로 다들 알고 있었습니다. 처음에. 그분과 그분을 모셔온 문재인 대표 사이에 무슨 약속이 다른 게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저는 구체적인 약속은 없었을 거라고 믿습니다. 그런데 그런 약속이 따로 두 분 사이에 있었다 하더라도 그건 두 분 사이의 문제일 뿐이기 때문에 그분이 이 당이 나한테 무슨 빚을 졌으니까 갚아야 된다, 이렇게 말씀하실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요. 그분 본인이 얼마 전에 내가 이 당에 해줄 수 있는 일은 다 했다, 이렇게 말씀을 이미 하시지 않았습니까.

    ◇ 김현정> 그런 말씀 하신 적 있죠. 그런데 정치 공학적으로 봤을 때는 지금 김종인 대표 체제를 조금 더 유지하면서 이대로 내년도 대선 국면까지 넘어가는 게 유리하다는 이야기를 당에서도 하지 않습니까?

    ◆ 김홍걸> 지금 여러 가지 할 일이 많은데요. 절차적 정당성이 부족한 비대위 체제로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어떤 한계를 말씀하시는 걸까요?

    ◆ 김홍걸> 국민의 당 측과 정책 경쟁 이런 부분을 벌여야 하는데 정부 여당과도 여러 가지 협상할 것이 많고. 그런데 비대위 체제로는 제가 보기에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절차적 정당성이 없기 때문에. 또 지금 그분이 선거 후에 하신 것들을 보면 당론과 위배되는 말씀을 많이 하셨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 지지층의 확고한 지지를 얻을 수 없다고 봅니다.

    ◇ 김현정> 그런데 이게 조기 전당대회를 열게 될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계파갈등이 일어날 거고 그렇게 계파 갈등하는 모습을 보면서 민심이 돌아서지는 않을까요?

    ◆ 김홍걸> 그런데 왜 언론이고 당내 일부 분들이 전당대회만 열면 분열이 된다, 이렇게 몰아가시는지 저는 잘 이해가 안 가는데요. 민주 정당에서 경선은 축제지. 내분이 아닙니다.

    ◇ 김현정> 그렇게 전당대회를 열게 되면 거기에 김종인 대표가 나오시는 건 자유고요?

    ◆ 김홍걸> 그건 본인 자유죠.

    ◇ 김현정> 만약 그렇게 김홍걸 위원장께서 말씀하신 대로 그 계획대로 가지 않는다면 잃어버린 표를 찾아야 되는 그 호남 표를 더 잃는 거라 생각하세요?

    ◆ 김홍걸> 네, 여론조사 어제 나온 것을 보면 호남에서 김종인 대표가 방문하신 후에 10%가 폭락했는데요, 지지도가. 그리고 제가 듣기로 광주에 지방 의원들이 그 분 방문 했을 때 기자간담회 나오라고 했는데 전혀 한 분도 안 나오셨고, 오히려 그분이 해체하고 조기 전당대회 해야 된다는 성명을 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전대 연기는 말하자면 호남포기다?

    ◆ 김홍걸> 그렇게도 볼 수 있는 거죠.

    ◇ 김현정> 내일 당선인 당무위원 연석회의에서 최종 결정이 나는 거죠?

    ◆ 김홍걸> 그렇게 저쪽에서는 원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저쪽에서 원하는 대로 연기를 하려면 중앙위까지 가는 것이 옳다 이거죠.

    ◇ 김현정> 그렇게 연기를 하려면. 알겠습니다. 내일 연석회의에서 연기가 아니라 원래 원칙대로 하자라고 결정되면 그건 문제 없고요.

    ◆ 김홍걸> 그렇죠.

    ◇ 김현정> 김종인 대표가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 최근에 언론에다가. 호남표 안 나오는 게 나 때문이라고 책임을 돌리는데 그러면서 문 전 대표가 당의 주인이라도 된 것처럼 행세를 한다. 도로 민주당을 만들려고 한다, 지금.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김홍걸> 글쎄요, 오히려 김종인 대표께서 외부에서 이 당에 오신 지 얼마 안 됐는데 스스로 당의 주인인 것처럼 좀 독선적인 리더십을 보여주셨거든요. 지금은 민주적인 리더십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오히려 주인행세를 하고 있는 건 김종인 대표 아니냐. 원칙대로 전당대회를 치르자라는 주장. 김홍걸 더민주의 국민통합위원장 지금 만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당 내부 얘기는 아닙니다만 최근에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를 향해서도 아주 날선 비판을 하셨더라고요.

    ◆ 김홍걸> 다른 뜻이 아니고 그분 말씀에 원론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거고요.

    ◇ 김현정> 그분 말씀이 뭐였냐 하면 저희 프로그램에 나와서 하신 말씀이에요. 박근혜 대통령이 변한다면 새누리 국회의장도 검토할 수 있다. 변한다면 뭐라도 협력하겠다 이런 발언을 했는데 여기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하신 거죠.

    ◆ 김홍걸> 네. 군사정권 이후로 여당의 대표도 국회의장 자리를 놓고 청와대와 협의하겠다 이렇게 대놓고 말한 적이 없거든요. 왜냐하면 삼권분립의 원칙을 훼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거죠. 그렇기 때문에 그런 오해를 살 수 있는 발언을 하시면 안 된다 하고 저는 지적한 것뿐인데. 그분은 밑도 끝도 없이 ‘부덕의 소치’다, 이렇게 답변을 하셨더라고요.

     

    ◇ 김현정> 내 ‘부덕의 소치’다, 지금 김홍걸 위원장의 저 발언이 나온 것.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 김홍걸> 제가 그분을 인신공격하거나. 싸움을 건 거나 이게 아니고 원칙을 얘기한 것인데. 부덕의 소치다, 이런 답변은 좀 적절치가 않은 것 같네요.

    ◇ 김현정> 부덕의 소치라는 말이 어떤 의미라고 이해를 하셨어요?

    ◆ 김홍걸> 통 이해가 안 갑니다. 나는 그런 뜻으로 한 말이 아니다, 이렇게 말씀하시면 될 텐데.

    ◇ 김현정> 조금 언짢으셨어요? 마치 삼촌이 조카 대하듯 이런 느낌을 좀 받으신 겁니까?

    ◆ 김홍걸> 언짢다기 보다는 좀 어리둥절했다는 거죠. 그런 상황에서 나올 답변이 아니니까.

    ◇ 김현정> 그런데 박 원내대표는 이런 얘기도 같이 했습니다. 만약 대통령께서 경제 정책 실패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국회에 협력을 요구한다면 논의의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그 원칙을 나도 말한 거다, 박 원내대표 얘기가. 그렇게 해명을 했는데요. 그렇더라도 삼권분리 위반입니까?

    ◆ 김홍걸> 그렇죠. 어떤 상황이든 간에 국회의장 뽑는 것은 국회의원들끼리 알아서 논의하는 것이지, 청와대와 얘기할 일이 아니고. 대통령이 만약에 사과를 한다 해도 그게 과연 진심일지 의문스럽니다. 왜냐하면 세월호 이후에 사과했던 것도 보시지 않았습니까.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런데 박지원 의원이 이분이 정말 정치권에서 오랫동안 잔뼈가 굵은 4선 의원이신데. 지금 김홍걸 위원장이 지적한 그 부분을 모르실 리가 없는데 말씀하신 건 왜 그러셨을까요.

    ◆ 김홍걸> 글쎄요. 제3당으로서의 캐스팅보트, 그걸 강조하신 것 아닌가 생각되네요.

    ◇ 김현정> 우리가 캐스팅보트 쥐고 있다는 걸 너무 강조하다 보니까 삼권분립 부분을 간과한 게 아니냐.

    ◆ 김홍걸> 그럴 수 있겠죠.

    ◇ 김현정> 아니, 그런데 김홍걸 위원장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던 박지원 원내대표 하고는 어려서부터 각별한 사이 아니세요?

    ◆ 김홍걸> 개인적으로 크게 친한 사이는 아니죠.

    ◇ 김현정> 그러십니까. 제가 요즘 봐서는 먼 사이보다도 더 못해 보이세요, 두 분이.

    ◆ 김홍걸> 저는 그분의 정치적인 그런 행태를 비판한 것이지. 개인적으로 그분을 비난한 것은 아닙니다.

    ◇ 김현정> 어머님이 보시면 조금 마음아파 하실 것 같아서요. 이희호 여사가 보시면.

    ◆ 김홍걸> 그런데 이건 원칙의 문제니까. 또 어머니를 정치적인 부분으로 좀 이용한 그런 것이 있기 때문에 안철수 의원 녹취록 사건도 그렇고. 얼마 전에도 어머니가 그분하고 대선 출마해라 하고 권유하셨다고 어떤 종편에다가 얘기를 하셨는데 어머니께 여쭤 보니까 전혀 모르는 얘기라고 하시더라고요.

    ◇ 김현정> 박지원 원내대표의 대선 출마.

    ◆ 김홍걸> 네.

    ◇ 김현정> 그런 얘기 한 적 전혀 없으시다고요?

    ◆ 김홍걸> 무슨 얘기냐 이러시던데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이건 박지원 원내대표한테 입장을 여쭤봐야 되는 문제구요, 일단 김홍걸 위원장은 알고 있는대로 본인의 입장을 말씀하신 겁니다. 오늘 여기까지 말씀 듣죠. 고맙습니다.

    ◆ 김홍걸> 네, 수고하셨습니다.

    ◇ 김현정> 더불어민주당의 국민통합위원장 김홍걸 위원장이었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