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툭하면 "심판하자"…지겨운 선거 프레임의 이면



국회/정당

    툭하면 "심판하자"…지겨운 선거 프레임의 이면

    • 2016-04-09 06:00

    '여야심판론', '경제살리기'…구태의연한 슬로건 내거는 이유

    총선이 다가온다. 앞으로 약 1500조의 예산을 다루는 ‘나라 살림꾼’을 뽑는 일인 만큼 유권자들은 신중하다. 무엇이 가장 중요한 이슈인지, 누가 가장 나를 잘 대변하는지 알기 위해 시민들은 언론에 주목한다.

    정치권에서는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야 한다”, “경제를 심판해야한다”, “경제를 살릴 정당은 우리다”고들 외친다. 결국 이들의 목소리는 ‘(저쪽당)심판론’과 ‘경제살리기’로 귀결되는데, 메시지는 언론을 타고 계속해서 전달된다.

    문제는 반복해서 접한 표현이 우리 뇌리에 강하게 박힌다는 것이다. 사실 선거에서 유권자에게 중요한 이슈는 ‘나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와 ‘현재 우리 사회에 가장 해결이 필요한 문제’다. 헌데 정치권에서 "반드시 심판해야한다", "경제를 살려야한다"고만 외치니 일부 시민들은 그것이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라고 착각하게 된다.

    유권자는 자꾸만 부각되는 정치프레임에 휘둘리지 않도록 경계할 필요가 있다. 정당이 주도한 선거프레임은 사회의 핵심 문제를 지적하는 것이기 보단 당의 승리를 위한 전략이 많은 탓이다.

     

    ◇ "각 정당, 유권자들 상관없이 자신들에 유리한 아젠다로만 프레임 짠다"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장 이효성(청주대‧신문방송학)교수는 “언론이 내뱉는 프레임은 유권자의 투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중요한 것은 언론에서 크게 다루는 이슈가 사회에 가장 필요한 문제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며 “각 정당은 중요한 문제 보다는 자신들에 유리한 아젠다로 프레임을 짠다”고 답했다.

    이종혁(경희대‧언론정보학)교수 또한 “선거기간에는 특히 정보량이 폭증하기 때문에 유권자는 언론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현재 정당들은 다른 당과의 경쟁에서 이길 프레임에만 주력하고 있다”며 “그들이 심판론을 내세우는 이유가 (진짜 심판보다는) 대립구도를 통해 승리하기 위한 전략임을 유권자는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당의 선거프레임 전략은 ‘여야심판론’에 이어 ‘경제살리기’로도 나타난다. 한동섭(한양대‧미디어커뮤케이션학)교수는 선거 때마다 모든 당이 경제살리기를 외치는 이유에 대해 “그 구호는 누구한테나 유리하다”며 “그것에 반대하는 사람이 어디 있나. 모든 정당이 외치는 게 당연하다”고 답했다. 이어 “문제는 경제라는 게 굉장히 모호한 개념이다”며 “구체적으로 정책을 내걸면 반론의 여지가 많아 일부러 모호한 표현을 쓰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상적인 선거과정이라면 자기 공약을 구체적으로 밝혀 그것으로 표를 얻어야 한다”며 “경제가 중요한 건 당연한데 어떻게 잘 하겠다는 건지 실현가능한 얘기들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것을 “모호한 구호로 이미지만 강조하는 우민정치”라고 비판했다.

    정당들이 구태의연한 정치프레임을 계속 내거는 데는 또 다른 이유도 있다. 김형철(한국외대‧정치외교학)교수는 “정당에선 진정으로 민생을 위하는 정책을 고민할 시간도, 의지도 없었다”며 “공천갈등, 계파싸움만 하느라 국민에게 필요한 정책은 뒷전이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심판론 같은 프레임은 특정한 ‘이미지 심어주기’를 통한 네거티브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예로, “새누리의 ‘일하는 국회’는 야당을 법안통과 못하도록 ‘발목잡기만 하는 곳'으로 이미지를 심는 것”이라며 “그런데 법안내용이 어떤 것이었고 왜 반대했는지는 말하지 않는다. 그저 ‘무조건 반대하는 야당’이라는 이미지를 심으려는 거다”고 비판했다.

     

    ◇ 심판론 외에 선거 전 살펴봐야할 문제는?

    김 교수는 선거 전 논의될 필요가 있는 사회적 문제로 ‘대표성의 왜곡’을 꼽았다. 그는 “약자보다는 가진 자를 더 많이 대변하는 기존 정치에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회 불평등, 양극화해소를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구체적 논의가 이뤄져야한다는 것이다 .

    또한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위축, 사회적 차별도 심각한 문제들인데 이런 부분은 아예 다루어지지도 않고 있다”며 “일자리 늘리겠다는 공약도 좋지만 차별금지법과 같은 정책에 대한 얘기도 해야 하지 않겠나”고 덧붙였다.

    갑질문화, 각 종 혐오표현, 성 불평등, 낮은 최저임금, 비정규직, 주거난 등 우리 앞에는 너무 많은 문제들이 놓여있다. 정치권이 다루지 않아도 시민들은 스스로 본인에게 중요한 이슈가 무엇인지 살펴봐야 하는 상황이다. 유권자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