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미국 블프에서 이름만 빌렸나…유통업체는 "죄 짓는 기분"



생활경제

    미국 블프에서 이름만 빌렸나…유통업체는 "죄 짓는 기분"

    소비자 기대 높은 '가전제품·명품'은 노세일이거나 할인폭 작아

    (사진=SNS 캡처)

     

    정가 299만원 짜리 삼성 냉장고를 반값에 가까운 199만원에…

    한 대형마트가 정부 주도의 내수진작 세일 행사에 참여한다며 내놓은 상품이다. 엄청난 할인률에 솔깃하지만, 이 제품은 일찌감치 온라인 마켓에서 최저가가 180만원에 형성돼 있다. 심지어 해당 마트에서도 카드 할인 등을 통해 평소에도 210만원 대에 팔렸던 제품이다.

    코리아 그랜드 세일 기간(8월 14일~10월 31일) 내 진행되는 한국 블랙프라이데이(10.1~14일)가 '소란스럽고 긴' 정기 세일에 불과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는 장면은 한 두개가 아니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에는 50% 가까이 할인 판매되는 최신 TV와 휴대전화 등이 인기 품목이지만 한국 블랙프라이데이는 사정이 다르다. 삼성과 엘지 등 제조업체가 참여하지 않는 만큼 전자제품에서 '진짜' 할인 품목을 찾기 어렵다.

    한 가전제품 편집매장은 블랙 프라이데이를 하루 앞둔 30일 세일 폭과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았지만, 제품 전체에 일괄적으로 할인이 적용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몇개 품목을 한정수량으로 싸게 내놓는 정도"라고 말했다. 최근 개별소비세 인하로 가전제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것까지 감안하면, 한국 블랙프라이데이에 소비자들이 느낄 실망은 커질 수밖에 없다.

    가전제품과 함께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은 명품 브랜드들도 이번 행사에 아예 참여를 안한다. 구찌와 프라다, 샤넬 등 고가의 명품들도 예외가 아닌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와는 대조적이다. 롯데와 신세계, 현대 등 백화점에서 고가 명품 브랜드는 여전히 '노세일'이다. 그나마 아울렛에서 추가 할인 행사가 있지만 평소에 하던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블랙프라이데이 한국 현지화 현재'라는 제목의 사진이 인기다. 1290원짜리 제과가 '그랜드세일'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90원 할인된 1200원에 팔리고 있는 장면이 담겨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