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자칭' 중산층, '꿈과 현실' 괴리 커 "42억 있었으면…"



금융/증시

    '자칭' 중산층, '꿈과 현실' 괴리 커 "42억 있었으면…"

    부동산 뺀 자산 3.3억‧월소득 710만원 '중산층'…삶 만족도, 동북아 4개국 중 최하위

    AIA 동아시아 중산층 리포트 (사진=AIA생명 제공)

     

    한국에서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꿈꾸는 은퇴 생활 수준은 실제 수입이나 재산 규모에 비해 턱없이 높고, 삶의 만족도와 재정적인 안정감 등은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IA그룹이 시장조사기관인 ‘입소스(Ipsos)’를 통해 한국과 중국(중국 4대 도시 포함, 소득수준 중상위권 주요 도시만 선별)과 홍콩, 대만에서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2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국 답변자의 77%가 편안한 노후 생활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모으지 못할까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51%), 홍콩(49%) 보다 높은 수치고 중국(25%) 응답자들이 답한 비율의 3배가 넘는 수치다.

    노후 생활에 대한 한국 중산층의 우려는 스스로 세운 은퇴조건과 현실사이의 괴리감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중산층의 월평균 가계소득은 710만원, 부동산을 제외하고 이들이 보유한 유동자산과 장기자산, 고정자산 규모는 평균 3억3천만원이었는데 이들이 '은퇴를 고려할 수 있는 재정적 희망금액("이 정도 금액이 있으면 당장 은퇴할 수 있다")으로 꼽은 액수는 약 42억원으로 연소득의 50배에 달했다.

    그러나 자칭 한국 중산층들이 안정적인 은퇴생활을 위해 저축하거나 투자하는 금액은 월평균 65만3천원으로 나타났다.

    ◇ 삶의 목표는 건강-편안한 노후생활-행복한 결혼생활 순

    삶의 가장 중요한 목표(복수 응답 가능)를 묻는 질문에 대해 한국 중산층은 '건강'(65%)과 '편안한 노후생활'(50%), '행복한 결혼생활'(40%), '스스로에게 만족하기'(37%) 등을 꼽았다.

    하지만, '자금 부족'(54%)과 '시간 부족'(36%) 등의 이유로 이런 삶의 목표를 달성하기 힘들다고 답했다.

    한국 중산층은 대체적으로 삶에 만족하고 있지만, 동북아시아 지역의 다른 조사 대상에 비해 만족도가 낮았다.

    삶에 만족하는 한국 중산층은 72%로, 동북아시아 조사 대상 평균인 79%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였다. 중국 본토는 85%, 대만은 79%, 홍콩은 75%를 기록했다.

    ‘자신이 성공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도 한국 중산층 중 38%만 ‘그렇다’고 대답해, 중국 중산층에 비해 만족도가 12-13% 정도 낮았다.

    또 보유 자산 수준에 따라 성공에 대한 평가와 삶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2억원(18만5천달러) 이상의 유동 자산을 보유한 한국 중산층 응답자 중 50%는 자신의 삶이 성공적이라고 답했지만 2억원 이하의 유동 자산 보유 한국 중산층은 33%만이 자신의 삶이 성공적이라고 답했다.

    ◇ 재정적 불안감 동아시아 최고…중산층 규모는 축소될 것으로 예상해

    한국 중산층의 재정적 불안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중산층의 55% 만이 자신이 재정적으로 안정돼 있다고 답해, 중국(76%)과 홍콩(70%), 대만(67%)에 이어 가장 낮았다.

    한국 중산층의 절반은 42%는 재정적 안정 확보를 위해 ‘운이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답했고, 절반에 가까운 47%도 ‘운이 일부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중산층의 미래에 대한 전망 역시 한국 중산층은 부정적으로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 동안 중산층의 규모 변화에 대한 예상을 묻는 질문에 한국 중산층 71%가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응답했다.

    중국 본토의 경우, 중산층이 줄어든다고 예상한 응답자는 18%에 불과했고, 홍콩과 대만은 응답자 중 각각 50%와 61%가 중산층이 줄어든다고 답했다.

    중산층 규모에 대한 비관적 전망은 자녀들의 삶에 대한 걱정으로도 이어졌다.

    한국 중산층은 자신들의 삶보다 자녀들의 삶이 더 힘들 것(68%)이라고 내다봤다. 비관적인 전망의 이유로 ‘취업 기회 부족’(82%)과 ‘높은 생활비(49%)’, ‘거주 및 생활 환경(40%)’ 등을 꼽았다.

    ◇ 자칭 중산층 47% ‘자녀가 은퇴 부모 지원해야’ vs 43% ‘현재 내 부모 지원하고 있다’

    한국 중산층 중 절반은 ‘자녀가 은퇴한 부모에 대해 경제적 지원을 해야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동북아시아의 다른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낮은 비율이었다.

    {RELNEWS:right}응답자 중 47%만이 ‘자녀가 은퇴한 부모에 대해 경제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중국 본토 중산층의 83%는 은퇴한 부모를 자녀가 모셔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홍콩과 대만 중산층은 각각 81%와 73%가 자녀가 은퇴한 부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책임져야 한다고 답했다.

    또 현재 부모 또는 배우자의 부모를 지원하고 있다고 응답한 한국의 중산층은 43%에 그쳐, 다른 조사 대상 지역(56-77%)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 중산층이 부모에게 지원하는 금액은 월 평균 35만8천원으로 동북아시아 조사 대상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였다.

    홍콩 중산층은 이 금액의 2배 이상에 달하는 789달러를 매월 부모에게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