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SNS가 공문? 복지부, 메르스 서울침투 황당 해명



보건/의료

    SNS가 공문? 복지부, 메르스 서울침투 황당 해명

    문형표 "35번 환자정보, 서울시 직원과 SNS 공유"…서울시 "해당 직원은 복지부 일원"

    문형표 복지부 장관 (윤성호 기자)

     

    메르스 감염 상태에서 서울 강남 일대를 돌아다닌 35번 메르스 환자에 대해 복지부는 사전에 서울시에 정보를 전달해 줬는가?

    그러지 않았다는 4일 서울시의 주장에 대해 복지부와 서울시가 반박, 재반박을 거듭하며 공방을 벌이고 있다.

    복지부가 알고도 알려주지 않았다면 복지부의 상황 판단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는 말이 되므로 두 기관 간에 양보 어려운 설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문형표 장관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35번 환자와 관련해서는 단체 정보공유 SNS로 서울시와 실시간 공유했다고 반박했다.

    서울시가 관련 정보는 3일 저녁 서울시 공무원이 관련 회의에서 처음 접했으며 그 이전에 35번 환자와 관련한 정보에 대해 ‘공식적으로 통보받지 못했다’고 전날 밝힌데 대한 해명이었다.

    결국 문 장관의 이날 반박은 SNS 실시간 공유가 서울시에 대한 ‘공식 통보’였다는 것이 된다.

    문 장관은 이날 35번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31일 실시했고 질병관리본부와 서울시, 강남구 보건소 관계자 등이 (그 내용을) SNS로 실시간 공유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렇다면 문 장관이 언급한 ‘SNS 통한 실시간 공유’란 무엇일까?

    이는 질병관리본부 중앙 역학조사반 내부 구성원들끼리 그때 그때 상황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문 장관이 ‘단체 정보공유 SNS’라는 말을 조합해 사용한 것을 보면 단체 카톡방(단톡방)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러나 단톡방 같은 것을 통한 상황 전파가 ‘공식적인’ 행정 절차가 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더욱이 서울시는 단체 정보공유 SNS로 상황을 전달받은 역학조사관도 사실상 질병관리본부 인원이지 서울시의 인원이 아니라고 반박한다.

    김창보 보건기획관은 이날 문 장관의 기자회견을 반박하며 “해당 역학조사관은, 서울시의 역학조사관으로 이름을 갖고 있지만, 이번과 같은 감염사고 발생시 질병관리본부의 오더(명령)를 받아 질병관리본부의 일원으로 참가한다. 서울시에 보고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책임이나 의무가 없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논란이 되는 것이 35번 환자의 확진 판정이후 복지부와 서울시간 업무협의의 성격이다.

    문형표 장관은 전날 박원순 서울시장이 35번 환자의 정보와 관련한 복지부의 비협조를 꼬집은데 대해 그 역시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31일 역학조사 이후 3일 열린 실무위원회를 개최해 서울시 관계자와 해당 사안에 대해 논의 했다는 설명이다.

    이에대해 서울시는 해당 실무위원회의 35번 환자의 역학조사 결과와 대책 논의 자리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김창보 보건기획관은 “당시 회의에서 서울시 직원이 언론보도 근거로 35번 환자에 대해 물어보고 문제제기하는 과정에서 논의됐다”며 “이후 질병관리본부에 신속한 정보공개와 조치를 수차례 요구했다”고 말했다.

    {RELNEWS:right}그러면서 박원순 시장이 이와 관련해 문형표 장관과, 질병관리본부장에게 직접 휴대폰 통화를 한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설령 해당 회의가 복지부 말대로 35번 환자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였다고 간주하더라도 확진 이후 이틀 후에야 회의를 소집한 셈이어서 늑장 대응 문제는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는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35번 환자의 언론 인터뷰 내용에 대해서도 적극 반박했다.

    35번 환자는 자신이 감염상태로 시내를 돌아다녔다는 서울시 설명에 대해 “5월 29일에는 증상이 없었고 메르스 환자 접촉한 사실도 5월 31일에서야 알게 됐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35번 환자가 5월 29일 역학조사 때 가벼운 기침을 했고, 30일에는 기침에 미열까지 측정된 사실을 언급하며 “35번 환자가 메르스 관련한 객관적 증상을 가지고 다중과 접촉한 것이 중대 문제라고 판단한 것”이라고 재반박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