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세월호 참사 경유해 온 '대학'은 이윤추구 '공장'"



책/학술

    "세월호 참사 경유해 온 '대학'은 이윤추구 '공장'"

    [학술세미나 '세월호 참사와 문화연구' 중계 ②]…학생은 '상품'·미취업생은 '재고'

    '이대로 있을 수는 없다'는 마음들이 모였다고 합니다. 지난 10일 서울 안암동에 있는 고려대에서 학술세미나 '세월호 참사와 문화연구'가 열린 이유입니다. 한국언론학회와 언론과사회연구회 주관으로 열린 이 자리에서 발표된, 1주기를 앞둔 세월호 참사를 바로 볼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전합니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1주기 앞둔 '세월호 참사' 왜 해결은 커녕 논쟁만 격해질까
    ② "세월호 참사 경유해 온 '대학'은 이윤추구 '공장'"
    (계속)

    지난 4일 경기도 안산시 세월호 정부 합동분향소에서 출발해 1박 2일 도보행진을 시작한 가족협의회 세월호 유가족이 5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 도착해 눈물을 훔치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1주기를 앞둔 4·16 세월호 참사는 한국 사회의 축소판으로 불린다. 이 '사건'에 숱한 사회적 모순이 응축돼 있는 까닭이다.

    같은 맥락에서 대학 문제 역시 세월호 참사와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0일 서울 안암동에 있는 고려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와 문화연구' 학술 세미나에서다.

    홍성일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박사는 이날 '세월호 참사와 대학의 위기' 발표에서 "세월호 참사 이후 각종 괴담과 흑색선전이 유포됐는데, 최근 단원고 생존 학생들의 대학 특례 입학, 유족들에 대한 배상금인지 보상금 문제도 그렇다"며 "이는 유가족과 시민을 분리하고, 유가족이 정부를 압박하는 유난한 사람들이라는 인상을 줘 지금의 연대를 와해시키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적인 예로 지난 1월 6일 MBC 뉴스데스크의 '단원고 2학년 대입특례…세월호 배·보상 특별법 최종합의' 보도를 들었다. 보도 내용은 이렇다. "세월호 사고 이후 생존한 당시 단원고 2학년 학생은 80여 명. 여야는 이들 학생들이 정원 외로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피해가족 등의 여론을 수렴한 야당의 요구가 수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 박사는 "보도 내용을 보면 대표성을 갖는 단체의 의견을 수렴한 것처럼 보이려 했다는 점과 여야 합의에 의한 특별법임에도 '야당의 요구가 수용된 것'이라고 한 데는 악의가 넘쳐난다"며 "포털에서 이 기사에 댓글이 1만 3000개 달렸는데 '공정경쟁을 하지 말자는 거냐' '매번 이런 특혜를 줘야 하냐'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러한 일련의 흐름 속에서 '대학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했다"며 "세월호 참사 국면에서 드러난 대학은 학생들을 '상품'으로, 취업하지 못한 학생을 '재고'로 표현하면서 스스로 '공장'이라는 불편한 진실을 드러냈다"고 덧붙였다.

    단순화했을 때 과적, 불법 구조변경, 비정규직 등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욕망이 세월호 참사를 부른 것처럼, 대학 역시 이윤 추구의 무한 순환고리에 빠져 있다고 홍 박사는 꼬집었다.

    그는 "대학을 시장, 공장으로 보는 관점은 비판적인 지식인들 사이에서 오래된 것"이라며 "루이 알튀세르는 유명한 논문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를 통해 '학교란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요한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곳'이라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