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주기 앞둔 '세월호 참사' 왜 해결은 커녕 논쟁만 격해질까



책/학술

    1주기 앞둔 '세월호 참사' 왜 해결은 커녕 논쟁만 격해질까

    [학술세미나 '세월호 참사와 문화연구' 중계 ①]…'희생' 아닌 '무화' 되는 죽음들

    '이대로 있을 수는 없다'는 마음들이 모였다고 합니다. 지난 10일 서울 안암동에 있는 고려대에서 학술세미나 '세월호 참사와 문화연구'가 열린 이유입니다. 한국언론학회와 언론과사회연구회 주관으로 열린 이 자리에서 발표된, 1주기를 앞둔 세월호 참사를 바로 볼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전합니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1주기 앞둔 '세월호 참사' 왜 해결은 커녕 논쟁만 격해질까
    (계속)

    10일 오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예정됐던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들과 이완구 국무총리의 면담이 취소됐다.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들은 총리와의 면담을 위해 광화문광장을 나섰으나 경찰병력이 주한미국대사관 앞에서 이들을 막아서면서 끝내 무산됐다. 가족들은 총리공관 인근까지 가족들이 함께 이동한 뒤 대표자 11명만 들어가겠다고 요구했지만 경찰 측은 대표자 이외의 가족들은 이동을 반대, 이날 면담이 성사되지 못했다. (사진=황진환 기자)

     

    4·16 세월호 참사가 1주년을 맞는 현재까지도 해결은 커녕 논쟁을 악화시키는 데는 어떠한 힘이 작용하고 있을까.

    곽영빈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박사는 '세월호라는 신기원: 죽음의 정치와 정치의 죽음'이란 제목의 발표를 통해 그 원인을 분석했다.

    곽 박사는 최근 세월호 참사를 대하는 중요한 두 가지 국면으로 '교통사고론'과 '순수 유족 공동체론'을 제시했다.

    그는 "이들 논리는 세월호 참사가 낳은 304명의 죽음을 무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곽 박사에 따르면 먼저 교통사고론은 세월호 참사의 죽음이 통계적 죽음의 숫자로서 무화, 인구화되는 것이다.

    그는 "교통사고론은 죽음의 의미가 통계적인 차원에서 여러 사례 중의 하나 또는 퍼센테이지로 포함돼 사건의 의미를 무화시킴으로써, 정치적으로 옳은 생각을 공유하려는 것과는 무관하거나 독립적으로 작용하게 만든다"며 "이러한 통계학적인 담론은 자살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이나 예산 투입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책임을 없애는 것처럼 세월호 참사에 있어서도 같은 효과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