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대통령,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한 듯"



교육

    "대통령,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한 듯"

    누리과정까지 감당하느라 파탄 지경인데

    광주광역시 장휘국 교육감

     



    - 현재 예산으로도 빚지고 있는 실정
    - 인건비까지 늘어난 상황인데
    - 예산 더 줄인다? 교육하지 말라는 얘기
    - 학생수는 감소한 것 맞지만
    - 과거보다 학급수는 훨씬 늘어난 상황
    - 학급수가 늘면 교실 등 시설 늘려야
    - 하지만 현재도 학급당 학생수는 OECD평균 못미쳐
    - 학교통폐합, 할수도 있지만 굉장히 어려운 일
    - 오히려 지방재정교부금 높이길 희망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5년 1월 27일 (화) 오후 6시 10분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장휘국 (광주시 교육감)


    ◇ 정관용> 어제 박근혜 대통령이 국가 재정난이 심각한데 그걸 타개하는 한 방안으로 지금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이 기준이 학교나 학급수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학생수로 바꾸면 어떠냐, 학생수가 점점 줄고 있으니까 그래서 현행 교부율도 좀 낮춰보는 게 어떠냐, 이런 취지의 발언을 해서 지방교육청 교육계가 강하게 또 반발을 하네요. 전국시도교육감 협의회 회장 맡고 계신 광주시의 장휘국 교육감 연결하죠. 교육감님, 나와 계시죠?

    ◆ 장휘국> 네, 안녕하세요?

    ◇ 정관용> 교육재정교금, 이게 뭡니까?

    ◆ 장휘국> 우리 지방교육청들은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자체적으로 예산을 마련할 수 없고 중앙정부에서 주는 예산, 그게 교육재정교부금입니다. 이게 내국세의 20.27%로 정해져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는 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이렇게 정부에서 주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과 지자체에서 들어오는 법정적립금 그리고 학생들이 내는 등록금 이렇게 되어 있어요. 그런데 중학교까지는 등록금이 없고.

    ◇ 정관용> 거의 없죠.

    ◆ 장휘국> 아니 거의 없는 게 아니라 아예 없습니다. 고등학생들만 등록금이 있는데 그 수입까지 합쳐서 우리가 예산을 편성하게 되는데 이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우리 전체 예산의 약 88% 정도 이상 됩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우리 지방교육청 예산의 거의 전부다, 이렇게 말하면 되겠고.

    ◆ 장휘국> 그렇습니다.

    ◇ 정관용> 이 돈에서 선생님들 인건비도 나가고 그러는 거죠?

    ◆ 장휘국> 그렇습니다. 교사 인건비 그리고 교육에 종사하는 모든 분들의 인건비, 비정규직 인건비까지 다 포함되고요. 시설, 환경 개선비 뭐 다 들어갑니다. 우리가 정부에서 특별히 더 지원해 주는 것은 학교 신설비를 주는 데 30년 넘고 40년 되고 이런 학교시설을 새로 건물을 짓는 데 들어가는 비용, 이것 모두 다 우리 지역 예산으로 충당합니다.

    ◇ 정관용> 네. 그리고 교육재정교부금은 내국세의 20.27%로 정해져 있습니까?

    ◆ 장휘국> 네, 그렇습니다.

    ◇ 정관용> 이것은 매년 조정되나요, 어떻게 되나요?

    ◆ 장휘국> 20.27%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세수가 많아지면 조금 늘어나고 세수가 줄어들면 줄어들고 그렇습니다.

    ◇ 정관용> 제 말씀은 20.27%라고 하는 이 비율은 어디서 정한 것이고 얼마 만에 한 번씩...

    ◆ 장휘국> 그것은 법률에 정해져 있는 것입니다, 지방재정교부금법에.

    ◇ 정관용> 그러면 20.27%가 언제부터 계속 적용되고 있는 거예요?

    ◆ 장휘국> 제 기억으로는 1년 가까이 되는 것으로 기억을 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렇습니까?

    ◆ 장휘국> 네.

    ◇ 정관용> 그런데 어제 박근혜 대통령이 ‘지금 세수는 늘어나지 않고 그러는데 복지재정 등등 쓸 데가 많다. 그런데 학생수가 줄어들고 있으니까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조금 줄일 수 있는 것 아니냐, 아예 기준을 학교나 학급수가 아니라 학생수로 바꾸면 어떠냐‘ 이런 취지의 말씀을 하셨다는 말이에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거는?

    ◆ 장휘국> 아, 이거는... (웃음) 저희들로써는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면 오해하시는 분도 있을 수 있는데 대통령과 청와대가 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아니면 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매우 걱정스럽고 우려스럽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 지금까지 20.27%로 되어 있는 이 예산을 가지고도 지방교육이 빚을 지고 있어요, 지방채를 내서 쓰고 그런 상황인데 거기에다가 갑자기 누리과정 예산까지를 지방교육재정으로 담당하게 하니까 저희들은 파탄 지경에 갔거든요. 지금 그래서 저희들은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절반도 못 세웠습니다, 우리 광주는 두 달밖에 못 세워놨는데 이런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또 더 줄인다는 것은 좀 말이 안 되는 거고요. 2014년과 2015년 예산을 본다면 2015년에 줄어들었습니다. 2013년에 세수가 줄었기 때문에 줄어든 것으로 보면 저희로서는 인건비가 거의 900억원 이렇게 늘어나고 또 이제 세수감소로 해서 교부금이 줄어들고 해서 거의 1400억원 가까이가 2014년보다 15년에 줄어들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자체 예산으로 1억원짜리 교육 사업을 1400개를 없앤 꼴입니다.

    ◇ 정관용> 점점 줄고 있고?

    ◆ 장휘국> 그렇죠. 이런 상황에서도 어린이집 누리과정 지원예산을 다 못 세운 상황인데 이 예산을 더 줄인다고 그러면 이제 교육하지 마라는 것과 마찬가지죠.

    ◇ 정관용> 그런데 기재부나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학생 1인당 교부금의 규모가 지난 2000년에는 282만원이었는데 올해 2015년에는 643만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이건 맞습니까?

    ◆ 장휘국> 그거는 맞는데요. 거기에서 오해가 생기는 게 2000년과 2015년, 15년 사이의 차이에 학생수는 줄었지만 학급수는 엄청 늘었습니다. 이유는 뭐냐 하면 우리가 그 당시 2000년에는 아마 학급당 학생수가 60여명 이랬을 겁니다. 그러나 OECD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35명으로 줄이고 30명으로 줄이고 이렇게 줄여가는 과정에서 학급수가 늘어났죠.

    ◇ 정관용> 아하.

    ◆ 장휘국> 그러면 학급 수가 늘어나게 되면 시설을 늘려야 합니다. 교실을 늘려야죠. 또 여러 가지 특별실 늘려야죠. 그리고 교원 수가 또 늘어납니다.

    ◇ 정관용> 당연하죠.

    ◆ 장휘국> 이렇게 엄청난 예산이 들어갈 그 학급 수나 교원은 늘어난 거죠.

    ◇ 정관용> 그러면 지금 2015년 시점에서 말이죠. 앞으로 학생 수는 더 빠른 속도로 줄어들게 되지 않습니까?

    ◆ 장휘국> 네, 그렇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