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달러= 1000원 시대' 임박…경제체질 바꾸는 계기돼야



경제정책

    '1달러= 1000원 시대' 임박…경제체질 바꾸는 계기돼야

    고부가제품, 브랜드파워, 결제통화 다변화 등 필요

    (사진=이미지비트 제공/자료사진)

     

    환율의 내림세가 가파르다. 지난 3월 25일 1달러에 1079.4원을 기록했던 환율이 4월 9일 1050원선 밑으로 떨어지더니 4월 11일엔 44.4원 떨어진 1035원을 나타냈다. 불과 17일만에 4.1%의 하락율을 나타냈다.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환율은 지난 30일에는 결국 심리적 마지노선인 1020원선까지 무너지기도 했다.

    지난 5일 종가기준으로 환율은 달러당 1020.5원에 거래됐다. 두 달 사이 59원 가까이 떨어졌다.

    지금 추세대로면 3분기쯤엔 1달러에 1000원 선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의 원화 강세 현상의 주요원인으로 경상수지 흑자가 꼽히고 있다.

    원화강세는 수입물가의 가격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지만 지난해 민간소비는 2%에 그쳤고, 설비투자는 1.5% 감소해 수입은 3.2% 줄었다.

    지금의 흑자는 내수 침체로 수입이 줄어들면서 생긴 불황형 흑자로 국내 경기가 살아날 호재가 없기 때문에 당분간 원화 강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환율 하락 수출 기업 타격 커 vs '환율' 영향력 예전보다 낮아

    환율이 하락하면 우리나라 생산품들의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자동차와 같이 해외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타격은 불가피 하다.

    하지만 충격의 정도를 두고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반응이 엇갈린다.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환율 변수보다는 글로벌 경제 환경 등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환율 하락이 수출 기업에 큰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등 악재를 겪으면서 국내 기업들이 해외 생산을 늘리거나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환위험 관리를 강화하는 등 환율에 대한 방어기제를 건실히 갖추면서 환율에 대한 기업들의 민감도는 떨어졌다는 것이다.

    자본시장연구원 이승호 국제금융실장은 "환율 하락은 다르게 보면 수입 원자재와 중간재 가격 하락으로 기업의 생산원가가 낮아지고 값싼 제품을 공급하게 하여 물가안정과 경제주체들의 실질구매력을 높여준다"라며 "그렇게 되면 기업들도 국내 투자를 늘리는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환율 하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환율 하락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평균 환율이 달러 당 1028원일 경우,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는 0.34%p늘어나고 수입은 0.2%p늘지만 재화와 서비스 수출은 0.46%p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전체국내총생산(GDP)은 0.21%p하락했다고 결론을 지었다.

    환율 하락이 수출기업의 채산성을 악화시키게 되면 대기업들의 고용을 위축시키고, 그 밑에 딸린 수 천 개의 협력업체에 까지 연쇄적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수입물가가 낮아지면서 얻을 수 있는 구매력 향상 효과도 오히려 상쇄되기 때문에 안 그래도 투자와 소비가 위축된 현재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 언제까지 환율만 바라볼 건가…장기적 대비책 필요

    예전처럼 환율 변동에 대해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환율에 대한 민감도를 낮추기 위해 우리 경제의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정부가 환율에 대해 주시하고 있고 대비할 거란 신호를 줘 환율이 급격히 하락하는 오버슈팅을 막아야 한다.

    또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기업별 환관리 컨설팅을 지원하고, 환변동·선물환 보험 가입을 유도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기업이 품질 개선과 기술 특화를 통해 가격경쟁력이 아닌 브랜드 파워 등 비가격 경쟁력을 길러야 한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독일 자동차기업들처럼 제품 경쟁력으로 가격 경쟁력을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제품과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원달러 환율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고 결제통화를 다변화 해 환율 민감도를 낮추는 것도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최근의 원화 강세가 내수부진에 기인한 면이 크기 때문에 침체된 내수를 살리는 일이 중요하다.

    잉여금을 쌓아만 두고 투자를 하지 않는 기업들이 투자를 늘려 성장 잠재력 확충해야 하고, 그로 인해 고용이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가계 소득이 늘어나면서 내수도 살아날 수 있게 된다.

    하이투자증권 박성현 투자전략팀장은 "가계 소비여건 자체가 좋은 여건이 아니다.가계부채 부담도 있고 심리적으로 침체 부분이 있다"라며 "결국 소득이 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가 가계부채를 안정화 시켜주고 자산소득을 늘릴 수 있도록 자산시장을 부양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