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세월호 비극, 결국은 '돈돈돈' 때문



사건/사고

    세월호 비극, 결국은 '돈돈돈' 때문

    전문가 "천민자본주의가 낳은 비극" 지적

    침몰하고 있는 세월호. (목포 해경 제공)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는 결국 돈이 원인이었다.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은 선박구입 비용을 아끼기 위해 수명이 다된 중고선박을 들여왔고 승객을 많이 태우기 위해 무리하게 객실을 증축했는가하면 돈을 더 벌기 위해 과적운항을 관행적으로 해왔던 것으로 속속 드러나고 있다.

    ◈ 중고선박 구입: 새 선박비용의 1/10…돈이 돈을 번다

    세월호와 같은 규모의 새 여객선을 구입하는데는 1,000억여 원의 돈이 든다.

    그러나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은 146억원, 새 선박 구입비용의 1/10 정도를 주고 '중고선박'을 구입했다.

    세월호를 구입한 이 돈도 대부분 빌린 돈이었다. 당시 청해진해운은 세월호를 담보로 산업은행으로부터 선박 구입 및 개보수 자금 100억원을 대출받았다. 산은은 세월호의 선박 가치를 인정해 구입자금 116억원과 개보수 자금 30억원 등 총 146억원 가운데 100억원을 대출해줬다.

    청해진해운은 사실상 무일푼으로 '장사'를 시작한 것이다.

    ◈ 선박 개조: 돈 되는 객실 50% 증가

    외상으로 장사를 시작한 청해진해운은 수지타산을 맞추기 위해 세월호를 개조하는 일부터했다.

    당초 600명 승선 규모였지만 300명 정도를 더 태울 수 있도록 배 뒤쪽을 들어 올렸다.

    선사는 객실 증축을 하면서 배 옆면에 나 있던 무게 50t 가량의 큰 출입문, 즉 램프웨어도 철거했다.

    세월호 같은 페리 여객선에는 차량과 화물이 오가는 램프웨어가 있는데 이 출입구를 줄이면 화물을 더 실을 수 있고, 배 전체 무게는 가벼워져 객실 증축에 유리하게 된다.

    배를 뜯어고치면서 돈을 더 벌어들일 수 있는 선실은 당초보다 무려 50%나 늘어났다.

    여객선 세월호에 대한 실종자 수색구조 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청해진 해운의 인천 제주간 또 다른 여객선 오하마나호가 운항을 중단한 채 23일 오전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에 정박해 있다. (윤창원 기자/자료사진)

     

    ◈ 화물적재·발권·검표시스템: 돈 더 벌려 과적, 부실한 발권 '검은 돈' 개연성

    세월호 침몰 사흘째인 지난 18일, 청해진해운은 세월호에 적재된 화물 무게가 1,157t이라고 발표했다.

    당초 2,500t이었던 세월호의 최대 적재 화물량은 2012년 10월 선실을 늘리는 등 구조를 변경하면서 1,070t으로 줄었다.

    사고 당시 세월호에 차량 180대가 실려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200톤 가까운 화물이 더 실렸던 셈이다.

    앞서 청해진해운은 세월호 도입 이전에 다른 여객선인 '오하마나호'를 월·수·금요일에 인천-제주노선에 투입해왔다.

    이에 따라 나머지 화·목요일의 제주노선을 독점하기 위해 중고선박인 세월호를 도입했는데 취항 1년 만에 8억 원에 가까운 영업손실을 내자 이를 메우기 위해 화물과적 등의 무리수를 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실한 발권·검표시스템도 탈세 및 비자금 조성과 관련이 있을 개연성이 높다,

    승선권에 인적사항을 제대로 적지 않거나 이에 대한 검사를 철저히 하지 않는다는 것은 결국 승선 과정에서 누락된 '검은 돈'이 '윗선'으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이기 때문이다.

    ◈ 안전교육·승무원 처우: 돈벌이 마인드에 뒷전으로…

    승객들을 뒤로한 채 배에서 먼저 빠져나온 세월호 승무원들은 평소 안전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았다.

    청해진해운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가 지난해 선원안전교육비용으로 쓴 돈은 고작 54만1,000원, 1인당 4,000원에 불과하다.

    선원들의 처우와 급여도 선사 측의 철저한 '돈벌이 마인드' 안에 있었다.

    청해진해운 전체 승무원 중 절반 이상, 선박직 15명 가운데 9명은 6개월~1년짜리 단기 계약직이었다.

    세월호 승객들의 목숨을 책임졌던 이준석(69) 선장은 1년 계약직이었고, 이 선장의 수족역할을 한 조타수 3명도 6개월~1년의 계약직이었다.

    선사에 경제적 노예가 된 이들에게 책임의식과 사명감을 요구하는건 애초부터 무리였는지도 모른다.

    ◈ "돈만 아는 천민자본주의에서 비롯…모든 계층 대오각성해야"

    성공회대 최진봉 교수는 이번 세월호 참사에 대해 "돈을 벌기 위해 안전과 서비스는 도외시한 천민자본주의적 사고 방식이 낳은 비극적 결과"라며 "결국 이윤에 눈이 먼 사주가 수많은 생명을 희생시킨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또 "선박을 점검하고 운행을 관리감독해야 할 관련 기관들 역시 눈앞의 이익과 이해관계에 얽혀 제역할을 하지 못한 책임이 크다"며 "유사 사고가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잘잘못을 철저히 가려 엄중히 처벌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