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화학차량 없는' 방재센터…소방서에 소방차 없는 꼴



경제정책

    '화학차량 없는' 방재센터…소방서에 소방차 없는 꼴

    양압장치 없어 사고현장 못 들어가는 것도 논란

    지난해 9월 27일 발생한 구미 불산누출 사고 당시 CCTV 화면. 이 사고를 계기로 체계적인 화학사고 대응방안이 논의됐고, 화학사고 합동방재센터가 신설됐다. (노컷뉴스 자료사진)

     


    5명 사망, 18명 부상, 경제적 손실피해 554억원. 사상 최악의 화학사고 중 하나로 기록된 구미 불산누출 사고. 당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상황보고에 따르면, 사고는 오후 3시 43분 쯤 발생했으나, 특수화학분석차량이 탐지활동을 시작한 것은 다음날 새벽 0시 12분이었다.

    사고현장에 출동해 누출된 화학물질의 성분과 오염 정도, 오염 범위 등을 파악하는 등, 재난 수습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화학분석차량이 사고발생 10시간이 넘어서야 현장 활동을 전개한 것이다. 이 때는 이미 가스누출 차단조치가 완료되고, 사고 현장의 불산 농도도 낮아진 상태였다.

    ◈ 화학방재센터에 당분간 화학車 없다?

    구미 불산누출사고에 이어 잇달아 화학사고가 빈발하고 늑장대응 문제가 불거지자, 환경부는 화학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 독립부서인 '화학물질안전원'을 신설하기로 했다. 또, 정부합동으로 하반기부터 구미 산단을 비롯한 전국 6개 주요산업단지에 '화학사고 합동방재센터'도 설치된다.

    화학방재센터는 설치를 눈 앞에 두고 있으나, 문제는 방재의 핵심이 되는 화학분석차량이 아직 발주조차 못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국회 환노위 한정애 의원(민주당)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사고현장 측정분석차량 구매추진 자료"에 따르면, 화학분석차량은 지난달 27일에야 조달청에 입찰공고가 들어갔고, 빨라야 다음달이나 돼야 계약내용이 확정이 될 전망이다. 계약 후에도 실제 차량이 센터에 배치되기까지는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분석차량 구매와 관련한 설명자료. 아직 구매계약도 체결하지 못한 상태다.

     


    결국 화학방재센터는 예정대로 문을 열겠지만 내년 상반기까지는 화학분석차량이 없는, 그야말로 ‘소방차 없는 소방서’가 되는 셈이다. 화학사고가 발생해도 제대로 된 대응이 될 리 만무하다. 게다가 화학분석차량은 4대 분량만 배정됐다. 센터는 6곳인데 차량은 4곳이니 2곳은 아예 차량 없이 운영해야 한다. 나머지 2대는 내년에야 추가 발주될 예정이다.

    차량의 ‘스펙’도 논란거리다. 지난 2009년에 국립환경과학원에 배치된 화학분석차량은 트럭 뒤에 연구실이 달린 형태로,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양압장치가 구비돼 있다. 화학물질이 누출된 현장에 직접 투입돼 분석이 가능하고, 화학테러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장비다.

    ◈ 외부공기 차단장치 없어...차량제원도 논란거리


    하지만 이번에 발주한 화학분석차량의 정식 명칭은 ‘환경측정분석차량’이다. 47인승 버스를 개조한 이동식 실험실 형태로 제작되며, 여기에 양압장치는 빠졌다. 때문에 화학물질이 누출된 현장으로 직접 들어가지 못하고, 안전지역에서만 활동할 수 있다.

    {RELNEWS:right}환경부 관계자는 “초기에 도입한 화학분석 특수차량의 경우는 양압장치 때문에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갔고, 밀폐유지를 위해 속도를 낼 수 없는 등 운용상 문제가 많았다"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끝에 새로 발주하는 차량에는 양압장치를 설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외부공기 차단이 안되는 분석차량은 안전지역에 대기하면서, 탐지요원이 방호복을 입고 사고현장으로 들어가 측정을 하는 방식이 된다. 이에대해 연세대 문일 교수(화공생명공학)는 "양압장치가 없으면 작업 반경이 좁아지고, 효율성도 떨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화학사고 늑장대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학방재센터를 신설했지만, 결국 핵심 장비는 늑장 도입이 불가피하고, 장비의 효용성 또한 앞으로 논란거리로 남을 전망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