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발전소에서 내 동료가 또 죽었다"



사건/사고

    "발전소에서 내 동료가 또 죽었다"

    [발전소 경쟁시대, 그 후①] 죽어가는 근로자들

    발전소에서 고장과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안전불감증 문제로만 여겨졌던 사고들. 하지만 지난 2001년 한국전력공사의 발전부문이 6개의 회사로 분리, 본격적인 '경쟁시대'로 접어들면서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자칫 대형사고와 피해를 동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발전소 밖' 사람들과도 무관치 않은 문제다.

    지난 12년 동안 발전소에서는 어떤 일들이 있었던 걸까. 문제점과 대안 등을 4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죽어가는 근로자들
    2. 위험까지 '하청에 재하청'
    3. 발전소 '경영평가 전쟁'이 불러온 것들
    4. 또 다시 발전소 경쟁을 말한다


    dd

     

    전국의 발전소를 누비며 일하는 근로자 전 모(53) 씨.

    "오늘 하루도 살았구나"는 현장을 나서는 전 씨와 동료들이 매일 되뇌는 말이다.

    ◈ 한 근로자의 허망한 죽음

    "안전망만 설치돼 있었어도..."

    지난달 26일 당진화력발전소 9·10호기 건설현장. 함께 일하던 박 모(51) 씨가 '악' 소리를 낼 틈도 없이 눈앞에서 사라졌다.

    75m, 아파트로 치면 28층 높이에서 바닥에 철판을 까는 작업을 하던 박 씨였다.

    "철골에 막 서너 번을 부딪치며 30m 넘게 떨어지는데... 안전망이 없었던 거예요. 기계 설치한다고 안전망을 다 떼버리고 원상복구를 안 한 거예요. 저희는 그것도 모르고 그 높은 데서 일을 한 거지."

    "모기장보다 좀 나은 수준"이라며 푸념하던 안전망조차도 그 순간엔 없었다.

    추락한 박 씨는 숨이 붙어 있었다. 하지만 현장에는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응급인력도, 앰뷸런스도 보이지 않았다. 봉고차에 실려 40여 분 거리에 떨어진 병원으로 간 박 씨는 사망 판정을 받았다.

    ◈ 번듯한 발전소 안에 숨겨진 '죽음의 환경'

    이 같은 위험은 근로자들에게는 이미 익숙하다. 발전소 신축 현장은 물론, 사고를 막기 위해 실시하는 '계획예방정비' 기간에는 오히려 더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

    "정비 기간을 하루라도 더 줄이는 게 발전소 입장에서는 '돈'이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 근로자 김 모(54) 씨의 설명이다.

    "오버타임을 많이 시키죠. 그래도 빠듯해요 아주. 이건 뭐 하늘이 두 쪽 나도 빨리 (발전소) 불을 붙여야 되니까 일이 무지 바빠요. 화장실 갈 틈도 없어요."

    현장에 들어온 지 2~3일 만에 사고를 당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했다.

    "머리 위로 큼지막한 부속들이 지나다니다 아래로 떨어져서 머리를 다치기도 하고 어깨를 다치기도 합니다. 원래 '상하 동시 작업'은 위험해서 못 하게 돼 있지만 바쁠 땐 그런 거 안 따져요. 항의하면 '당신 말고도 여기 일할 사람 많다'고 합니다."

    지난해 13명, 5명의 사상자를 낸 보령화력과 태안화력 사고는 모두 계획예방정비 기간에 발생했다. 일부 부품이 빠지거나 불량인 비계 구조물을 다시 세우지 않고 그대로 사용했다 벌어진 일이었다.

    근로자들은 "알려지지 않은 사고가 더 많다"고 말한다.

    지난해 사고 이후 발전소 한 곳에서만 237개의 산업안전보건 분야 위반사항이 드러났다.

    특별근로감독을 벌인 대전고용노동청은 "이제는 달라질 것"이라고도 말했다. 하지만 현장 근로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그렇게 큰 사고가 있었는데도 달라진 건 없어요. 이번에 죽은 제 동료? 안전망 하나가 없어 목숨을 잃는 상황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