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유영철과 강호순 공통점 보니…"동물학대, 인간에게 돌아온다"



사건/사고

    유영철과 강호순 공통점 보니…"동물학대, 인간에게 돌아온다"

    [동물학대 STOP③] 잔혹, 엽기화…사회 폭력성 높여 결국 인간에 피해

    전북 순창의 한 농장주가 다섯 달 가까이 소를 굶겨 수십 마리를 죽게 한 사실이 앞서 CBS 보도로 드러났다.

    소를 굶겨죽인 행위가 학대인지를 놓고 논란이 이는 가운데 CBS는 어디까지를 동물학대로 봐야할지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동물학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보는 기획보도를 마련했다.

    세 번째 순서로, 점점 엽기적이고 흉포해지고 있는 동물학대 실태를 점검하고 동물학대가 우리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취재했다.


    ◈ ''고양이 은비''부터 ''진돗개 살해''까지

    진돗개 살해 당시 상황을 담은 동영상 캡쳐화면 (동물사랑실천협회 제공)

     

    지난 2010년 9월, 한 20대 여성이 이웃집 고양이를 발로 밟는 등 무참하게 폭행한 뒤 10층에서 내던져 살해한 이른바 ''고양이 은비사건''이 발생했다.

    그로부터 석 달 뒤에는 한 누리꾼이 공포 영화 ''쏘우''를 흉내내면서 "나를 설득시키면 고양이를 살려주겠다"며 피투성이가 된 고양이 사진을 인터넷에 올렸던 이른바 ''캣쏘우 사건''도 터졌다.

    이같은 사건을 계기로 동물학대는 사회적인 논란거리로 떠올랐고, 지난해 동물보호법이 개정되면서 처벌도 강화됐다.

    최고형이 ''벌금 500만원 이하''였던 동물학대자에 대한 처벌은 징역형이 추가돼,''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 벌금''으로 상향됐다.

    처벌은 강화됐지만 이를 비웃듯 동물학대는 한층 더 엽기적이고 잔인해지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온 몸이 낚시줄로 묶여 얼굴과 앞다리가 불에 그슬린 고양이가 거꾸로 매달린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또 최근에는 악마 에쿠스 사건에 이어 악마 비스토 등의 동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오면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전직 승려가 시끄럽게 짖는다는 이유로 진돗개를 흉기로 내려쳐 살생을 했다가, 경찰에 구속까지 되는 일도 벌어졌다.

    동물학대 사례가 늘어나고 점점 가학적이 되는 것도 문제지만 동물학대 가해자들이 점점 어려지고 있는 것은 더 큰 문제다.

    동물사랑실천협회 박소연 대표는 "최근 협회로 접수되는 신고건수가 증가할뿐더러 학대자 연령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며, "학대행위를 공개해 비난을 받는 것도 자기에 대한 관심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 동물학대가 사회적 폭력성 증가시켜

    현장검증에 나선 연쇄살인범 강호순^ 그는 범행 전 동물학대 성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노컷뉴스 자료사진)

     

    부녀자 8명을 살해하고 장모와 처까지 죽음으로 몰고 간 살인마 강호순. 그는 범행에 발을 들이기 전, 개 사육장을 운영하면서 개를 잔혹하게 도살하는 등 동물학대 성향을 보였다.

    연쇄살인범 유영철도 마찬가지였다. [BestNocut_R]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표창원 교수는 ''''유영철은 어렸을 때 동물학대를 했던 경험이 있었고 강호순도 그렇다''''고 말했다.

    표 교수는 ''''분노와 공격성이 강한데 차마 사람에게는 표출하지 못해 처음에는 동물을 선택하게 되고, 결국은 거기서 만족하지 못하고 인간에게 옮아가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켈러트(Kellert)와 펠트하우스(Felthouse)는 1985년 동물학대에 관한 유명한 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들이 152명의 범죄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공격적 성향을 지닌 범죄자의 25%, 즉 4명 중 1명은 어릴 적에 5차례 이상 동물을 학대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0년 박기범 동아대 경찰무도학과 교수도 자신의 연구논문에서 보스턴 노스이스턴 대학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동물학대자의 70% 이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범죄를 저지르고 있고, 이중 40%는 사람에 대한 폭력범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더 큰 문제는 동물학대가 학대자 본인에게서 그치지 않고, 학대 동영상이나 사진이 인터넷을 통해 유포될 때 발생한다.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이수정 교수는 ''''동영상이 워낙 많이 올라오다보면 동물에 대한 학대 의지가 없었던 사람도 ''''동물이 분풀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인지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것이 생명경시 풍조를 낳고, 남의 고통에 무감각해지는 경향을 확대시켜, 결국 사회의 폭력성을 높이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어린 나이에 동물학대 영상을 자주 접할 경우에는 이것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어렸을 때 학대나 좌절의 경험이 동물학대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갈수록 결손가정과 학교 폭력이 증가하는 추세와 맞물리는 현상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동물학대를 그저 동물을 해코지 하는 행위로만 여길게 아니라, 유년기때부터 동물학대 문제에 대해 교육하는 등 사회적 문제로 보고 적극 대응해야 하는 이유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