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외벽 서울꿈새김판에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하는 '한강 작가님 덕분에 책 읽는 시민이 더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라는 문구가 새롭게 게시돼 있다. 황진환 기자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효과로 출판업계 서적 생산이 반짝 증가했지만 한 달 만에 마이너스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진 지난해 10월 서적 출판업 생산은 1년 전보다 2.8% 증가했다.
서적 출판업 생산은 작년 2월(-4.9%) 이후 9월까지 마이너스 행진을 하다가 9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이는 작년 10월 10일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발표 직후 도서 구매가 급증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BC카드에 따르면 작년 10월 온라인 서점 매출은 1년 전보다 18.0% 늘면서 온라인 쇼핑 매출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서적·문구 판매지수도 1.7% 증가하면서 7개월 만에 플러스로 반전했다.
하지만 11월 관련 지표가 일제히 큰 폭의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분위기는 한 달 만에 뒷걸음질 쳤다.
11월 서적출판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1.1% 줄었다. 2023년 1월(-11.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감소 최대폭이다. 같은 기간 서적·문구 판매지수도 6.1% 줄며 2021년 8월(-6.8%)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출판업계 일각에서는 '한강 효과'로 관련 책에 관심이 폭발적으로 쏠리면서 한강 책이나 소설 분야에만 집중되었고, 내수 부진에 12월 비상계엄 사태 등 악재가 겹치며 전반적인 도서 판매량 견인까지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에 관한 세계 독자들의 관심을 키웠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적 효과는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크다는 것이 출판업계의 평가다. 중장기적으로 호재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