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전 기상정보 활용해 하루 전 산사태 예측



대전

    사전 기상정보 활용해 하루 전 산사태 예측

    지질자원연구원 '사전 기상정보 연동 산사태 조기경보시스템' 개발
    하루 전 3시간 간격으로 산사태 조기경보 발령

    거창 산사태 지역에서 지질자원연구원 연구팀이 현장조사를 하고 있다.(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사전 기상정보를 활용해 산사태 발생 위치와 발생 시점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나왔다.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우리나라 지질 등에 최적화된 산사태 모니터링 기술과 물리 기반 산사태 예측기법을 적용한 '사전 기상정보 연동 산사태 조기경보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강우 정보 분석 시스템에서 산정한 예측 강우 정보를 바탕으로 강우 유출 및 침투해석과 '불포화 사면안정해석'을 통해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이다. 산사태 발생 시 피해위험 지역을 선정해 산사태 발생위험도 레벨에 따라 산사태 조기경보 발령이 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우리나라 기상청의 동네예보 자료와 일본 기상청의 기상레이더 분석자료, 지질자원연구원의 강우 모니터링 자료를 매시간 수집·분석·연동해 사전 강우 정보를 예측한다.

    특히 현재 기준으로 24시간 전 사전 예측된 강우자료(3시간 간격) 제공을 통해 산사태 발생 가능성 평가가 가능해 산사태 재해 최소화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산사태 발생 위치에서 붕괴 토사량과 붕괴토사의 도달거리를 계산하고 토석류의 유동 및 퇴적 특성을 경사도 인자로 변환한 'Random Walk 모델'을 적용해 산사태 피해 범위를 산정한다.

    산사태 조기경보시스템(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개발한 시스템을 2011년 7월, 우면산 산사태와 경남 밀양 산사태 사례에 적용해 강우 정보와 지질 자료를 토대로 산사태 발생 시점과 범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95% 이상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또 2015년부터 지리산 국립공원 천왕봉 일원 4곳에 시범 구축해 운영 중인 산사태 조기경보 시스템을 통해서도 정확성을 검증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시스템을 확대 적용해 실시간 산사태 조기경보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송영석 지질연 지질환경재해연구센터장은 "산사태 재해 주관 담당부처인 산림청과의 협업을 통해 물리 기반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등 산사태 조기경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