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여성에게 편중된 차별의 정체는?'…영화 '이장'의 시작



영화

    '여성에게 편중된 차별의 정체는?'…영화 '이장'의 시작

    [노컷 인터뷰] '이장' 정승오 감독 ①

    지난 24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 CBS노컷뉴스 사옥에서 '이장' 정승오 감독을 만났다. (사진=황진환 기자)

     

    단편 작업을 꾸준히 해 오다가 문득 '긴 영화'를 찍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새들이 돌아오는 시간'은 아파서 입원한 엄마를 찾아가는 네 자매의 이야기였다. 이 작품 이후 자연스레 실제 내 가족에 관해서도 곱씹어보게 됐다는 정승오 감독은 그때 떠오른 '질문'에서 영화 '이장'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어릴 때도 뭔가 이상하다고만 여겼던 '제사 풍경'이 영감을 줬다. 누군가를 추모하는 의식을 준비하면서는 여성의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갖다 썼지만, 정작 제사에서 여성을 병풍 취급하는 게 이상하게 느껴졌다. 왜 여자들은 절을 안 하냐고 물으니 "여자니까 못하는 거야"라는 답을 들었다고.

    '이장'은 아버지 묘 이장을 위해 흩어져 지낸 오 남매가 오랜만에 모이며 세기말적 가부장제와 작별을 고하는 이야기다. 지난 24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 CBS노컷뉴스 사옥에서 정승오 감독을 만나 '이장'이 시작된 출발점과 주인공 오 남매의 탄생기를 들었다.

    ◇ 제사 때, 누군가는 차별받고 있었다

    '이장'은 정승오 감독의 첫 번째 장편영화다. 2016년 '새들이 돌아오는 시간'부터, '순환소수', '오래달리기'까지 연달아 단편 작업을 하고 나니 긴 영화를 찍고 싶다는 마음이 커졌다. 아픈 엄마를 보러 병문안 가는 네 자매의 이야기를 담은 '새들이 돌아오는 시간'은 '네 자매의 부모가 죽고 난 뒤에는 이 사람들이 어떻게 살까?' 하는 상상에서 시작했다고.

    정 감독은 "제 가족의 삶도 세밀하게 곱씹어보는 시간을 가졌던 것 같다. 그 과정에서 제사 기억이 소환됐다"라며 "제가 당시에도 좀 이상하게 느꼈던 게 있다. 어렸을 때 제사 지낼 때, 이게 누군가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의미 있는 의식인데, 그걸 준비하고 행하는 과정에서 누군가가 차별받고 있다는 기억이 있더라"라고 설명했다.

    "준비는 다 여자들이 했는데 절을 할 때는 병풍처럼 서 있고 또 끝나고 나면 정리는 다 여자들이 하더라고요. 이런 모습을 보고 당시 제가 아버지한테 여쭤본 것 같아요. 사촌 누나들, 고모들, 할머니는 왜 절하지 않냐고. 그때 '여자니까 못하는 거야'라는 얘기를 하셨어요. 절 못하는 이유가 여자라는 이유만 있다 보니까 그게 좀 이상하단 생각이 들었어요. (그 부분을) 새삼 깊이 생각해 보게 됐어요. '가족 내 여성에게 편중된 차별의 정체는 무엇인가?' 이 질문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아요."

    지난 25일 개봉한 영화 '이장' (사진=㈜인디스토리 제공)

     

    ◇ 혜영-금옥-금희-혜연-승락, 오 남매 캐릭터의 씨앗

    '이장'에는 아버지 묘 이장 건으로 갑자기 한 자리에 뭉치게 된 오 남매가 나온다. 혜영(장리우 분), 금옥(이선희 분), 금희(공민정 분), 혜연(윤금선아 분), 승락(곽민규 분). 첫째 딸과 넷째 딸, 둘째-셋째 딸이 짝꿍처럼 이름의 일부를 공유하는 게 재미있어서 혹시 여기에 얽힌 비밀이 있냐고 물었다. 돌아온 답은 다소 뜻밖이었다. 당연히 있을 거라고 기대한 '규칙'이 없었기 때문이다.

    오 남매라는 틀을 아내 형제들로부터 가져왔다는 정 감독은 이름 역시 동의를 얻고 그대로 썼다고 전했다. 본인도 이름을 짓게 된 배경이 궁금했다는 정 감독은 "작명에도 차별이 존재하는 거다. 막내만 승 자 돌림이었다. 대부분 돌림자는 여성한테는 안 준다. 족보에서 집안의 대를 쉽게 알 수 있게 돌림자를 쓰는 거니까. 아무튼 혜영, 금옥, 금희, 혜연에게 어떤 패턴이나 기준이 있을 것 같은데 '그냥 작명소 가서 주는 거 받아왔다' 이러는 거다. 저도 뭔가 있을 줄 알았는데…"라고 밝혔다.

    정 감독은 "저는 영화 인물을 구성할 때 주변 인물들을 많이 가져오는 것 같다. 그대로 가져온다기보다는, 제가 사람들을 만나면서 느끼는 걸 합치는 방식으로 인물을 만든달까"라고 덧붙였다. 극중에 꽤 규모가 있는 '오 남매'를 끌어들인 건 정 감독의 취향이었다. 그는 외아들이었지만 어머니 집은 12남매 대가족이었다. 외갓집을 가면서 어릴 적부터 식구 많은 집안의 복작거리는 분위기를 좋아하고 거기에 매료됐단다.

    꽤 조용해 침묵이 익숙했던 집과 달리 외갓집에는 사람이 많았다. 한 명씩만 말을 해도 이야기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여러 가지 얘기를 저는 되게 재미있게 들었다"라는 정 감독은 "사실 이런 캐릭터 구축에 가장 영향을 준 게 어머니였다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정 감독은 어머니가 가부장적인 집안 분위기를 싫어해 아버지와 자주 다퉜다고 전했다. 둘 다 경제 활동을 하는데 가사노동을 도맡아야 하는 것도, 친정아버지 제사에 참여할 수 없는 것도, 정 감독의 어머니에겐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었다. 정 감독은 "그땐 '둘이 안 싸웠으면 좋겠다' 요 정도 생각만 했는데, 그게(엄마 말이) 요목조목 다 맞는 말인 거다"라고 말했다.

    '이장'은 아버지 묘 이장을 위해 흩어져 지낸 오남매가 오랜만에 모이며 세기말적 가부장제와 작별을 고하는 이야기다. (사진=영화 '이장移葬' 제작위원회 제공)

     

    ◇ 부모님과 같이 살며 깨달은 '가부장제'의 한계

    '이장' 캐릭터를 세우면서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다는 답변에, 조심스레 질문을 이었다. 그렇다면 어머니가 보여준 태도가 정 감독의 삶이나 창작 과정에 영향을 주었나, 라고. 그는 "35년 동안 한국 남자로 살며 성 역할을 교육받았고, 한국에서 가장 남성 중심적인 집단인 군대에서 제 의지와는 상관없이 (생각을) 주입받고 세상 밖으로 나왔다. 이런 여러 가지가 섞인 채로 성장했던 것 같다"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어머니 저를 앉혀놓고 여성의 인권이라든지, 여성주의 교육을 하신 건 아니다. 다만 직관적으로 느낀 걸 (제게) 표현하신 것 같다. 아버지는 '집안의 남자로서 어때야 한다'고 교육하셨고, 어머니도 거기에 일정 부분 동의하시면서도 가족 내에서 자기 위치나 삶이 존중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계속 목소리를 내신 것 같다. 그런 게 무의식적으로 제 안에 들어온 것 같다"라고 밝혔다.

    남자 두 명이 있는 가부장적인 가정 안에서 자기의 사적인 공간을 분리하고, '개인의 삶'을 보존하고 싶었던 어머니는 그러나 머릿속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지는 않았다고. 정 감독은 "어떤 부분에선 한계가 있었다. '자식 때문에 산다'는 거니까. 어머니는 제가 열네 살 때부터 '네가 고등학교 졸업하면 바로 나갈 거야'라고 말씀하셨다"라고 부연했다.

    "이 영화를 작업하면서 어머니의 부분들과 아버지의 부분들을 생각했어요. 자연스럽게 확장되더라고요. 저희 아버지도 가부장적인 시스템 안에서 태어나 살아왔고, 저희 세대보다 훨씬 더 (가부장제를) 강력하게 주입받으면서 성장했을 테죠. 그러니 너무나 당연한 거죠, 가장으로서 내가 책임져야 하고 뭔가 이끌어야 하고 권위를 지켜야 하는 게. 그런데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어머니가 탁 들어오면서 많은 혼란을 느꼈을 거라고 봐요, 아버지도. 40~50년 동안 본인이 옳다고 생각하는 시스템이 가족 내에서 붕괴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생기니, 오히려 더 권위적으로 밀어붙이는 걸 보면서 안타깝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땐 그런 생각을 못 했지만, 저희 집이 해체된 다음엔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계속>

    '이장' 정승오 감독 (사진=황진환 기자)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