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조선시대 측우기와 측우대 등 첫 국보 지정



공연/전시

    조선시대 측우기와 측우대 등 첫 국보 지정

    국보로 승격된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사진=문화재청제공)

     

    조선시대에 제작된 강수량 측정 기구인 측우기(測雨器)와 측우기를 두는 받침인 측우대(測雨臺)가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됐다.

    문화재청은 기상청이 소유한 '금영(錦營) 측우기'와 '대구 선화당 측우대',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창덕궁 측우대'를 각각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라는 명칭으로 바꿔 국보 제329∼331호로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측우기와 측우대가 국보로 지정되기는 처음으로, 보물 지정 이후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는 49년, 측우대 두 점은 35년 만에 국보가 됐다.

    조선 과학기술을 상징하는 문화재로 널리 알려진 측우기와 측우대는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 재위기에 처음 만들어졌다.

    특히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는 근대 이전 강수량 측정 기구 중 세계에서 유일하게 현존한다고 알려졌다. 조선시대 충남 지역을 관할한 공주감영에 설치됐는데, 1915년 일본인 기상학자 와다 유지(和田雄治)가 반출했다가 1971년 한국에 돌아왔다. 청동 재질 금속기 3단으로 나뉘며, 중단 바깥쪽에 새긴 글자인 명문(銘文)을 통해 헌종 3년(1837)에 만든 것으로 확인된다.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는 1770년 5월에 화강암으로 제작했고,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는 1782년 만들어 이문원 앞에 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측우대는 앞쪽과 뒤쪽에 '측우대'(測雨臺)라는 글자를 새겼고, 제작 시기를 알려주는 '건륭경인오월조'(乾隆庚寅五月造)라는 문구가 있다.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에는 측우 역사를 알려주는 명문이 있다. 명문에 따르면 세종 대에 처음 구리로 측우기를 만들었고, 1770년 측우기를 만들어 창덕궁·경희궁·팔도·강화부·개성부에 설치했다. 또 1782년 여름에 기우제를 지내자 비가 내렸고, 정조 명으로 이문원 뜰에 측우기를 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인류 문화사 관점에서도 가치가 있는 유물을 국보로 지정해 우리나라 전통과학의 우수성과 가치를 알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