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한해인 "지금 뭘 안 한다고 해서 무너지지 말자고 생각해요"



영화

    한해인 "지금 뭘 안 한다고 해서 무너지지 말자고 생각해요"

    [노컷 인터뷰] '밤의 문이 열린다' 혜정 역 한해인 ②

    지난 9일 오후, 서울 중구 충무로의 한 카페에서 '밤의 문이 열린다' 혜정 역 배우 한해인을 만났다. (사진=황진환 기자)

     

    ※ 영화 '밤의 문이 열린다'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한해인은 2016년부터 단편영화 주연을 맡으며 활동을 시작했다. 세 명의 감독이 극장을 주제로 각자의 이야기를 펼친 '너와 극장에서'에도 출연했다. 지난 15일 개봉한 영화 '밤의 문이 열린다'는 유은정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면서, 한해인의 장편 주연 데뷔작이기도 하다.

    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렸을 때부터 연기자가 꿈이었던 한해인은 일찍부터 연기의 '맛'을 봤다. 어린이 극단을 시작으로 중학교 연극반에서 활동했으니, 꽤 시작이 빠른 편이었다. 공연을 올리는 것은 '너무 힘들었지만 너무 좋았다'. 예고에 진학한 후 대학에서도 연기를 전공했고 지금까지 왔다.

    아무리 좋아하는 것도 '일'이 되는 순간 다가오는 느낌이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 지난 9일 서울 중구 충무로의 한 카페에서 만난 한해인은 "연기하는 순간만큼 저를 완전하게 하는 순간은 없다고 생각했다"면서도 이제는 일과 삶을 잘 분리하는 게 필요한 것 같다고 밝혔다. 일에 매몰되기 시작하면 너무 고통스러워질 것을 알기에.

    일문일답 이어서.

    ▶ '밤의 문이 열린다'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엔딩 장면인 것 같다. 민성(이승찬 분) 대사. 보잘것없다고 생각한 삶을 그렇게 봐주는 사람이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되게 따뜻하다고 생각했다. 고맙다는 말이 너무 고마웠다.

    ▶ 영화에서처럼 소외되고 고립되는 상황을 직접 경험해 본 적이 있나.

    누군가가 (제 얘기를) 들어주지 않았다기보다는 저 스스로 그랬던 적이 있었던 것 같다. 친구가 전화를 해서 자기 힘들다고 막 울었는데 (제가) 위로는 해주고 있지만 사실 내 마음도 너무 무너질 것 같은 상황이었다. 거기에 대고 제 말을 할 수는 없었다. 내 아픔은 그냥 내가 지고 가야 하는 구나, 아무도 모르는 거구나, 그냥 나 혼자 겪어야 하는구나 하고 생각한 적이 있었던 것 같다.

    ▶ 반대로 사람은 역시 혼자 살 수 없구나, 하고 실감한 적이 있는지.

    사람들을 만나서 좋은 에너지를 주고받았을 때. 조금의 관심, 조금의 말 한마디면 괜찮아지더라. 그럴 때 그런 생각이 든다.

    한해인은 '밤의 문이 열린다'에서 감소현, 전소니와 함께 연기했다. 맨 위부터 감소현, 한해인, 전소니 (사진=영화사 리듬앤블루스 제공) 확대이미지

     

    ▶ 이번 작품에서 부모랑 떨어져서 혼자 지내는 아이 수양 역의 감소현과 피치 못할 사정으로 숨어지내야만 하는 효연 역의 전소니와 연기했다. 같이 작업해 보니 어땠는지.

    소현이는 실제로는 씩씩하다. 장난도 많이 치고. (웃음) 그래서 촬영 안 들어갈 때, 쉴 때는 장난치고 있다가 연기하고 그랬다. 단지 어려운 순간은 (극중에선) 유령이 안 보여야 되는데 소현이가 자꾸 (저를) 보게 되는 순간들이 있어서… (웃음) 그때 '어, 보면 안 되는데' 했던 게 있다. (웃음)

    소니 씨랑은 제가 소니 씨의 행동을 보고 연기 호흡을 막 주고받진 못해서 그게 좀 아쉬웠다. 둘 다 고립된 인물이다 보니까 둘 다 쓸쓸하게 연기했던 것 같다. (웃음) 혜정이 효연의 에너지에 자극을 받는데, 소니 씨가 그런(에너지를 주는) 효연을 잘 표현해주었다. 거기서 저도 좋은 자극을 받아서 혜정을 연기할 동력을 얻게 된 게 아닐까 싶다.

    ▶ 작업할 때 감독을 신뢰하고 가는 편인가. 아니면 적극적으로 자기 의견을 내는 편인가.

    저는 정말 제 안에서 걸리는 게 있지 않은 이상, '감독님은 이런 스타일이구나' 깨닫고 나면 그 스타일에 맞춘다. '우리 영화는 이런 톤으로 만들어지겠구나' 하는 걸 알고, 왜 이 톤을 원하시는지 이해가 되니까 이 인물 연대기에서 정말 말이 안 되고 감정적으로 걸리는 부분이 있지 않은 이상 감독님을 믿고 따르는 편이다.

    ▶ 유은정 감독은 현장에서 어떤 스타일인지.

    감독님이 굉장히 차분하시지 않나. 혹시 고민하거나 걸리는 게 있는데 말씀 못 하시는 거 아닐까 싶었는데 아니시더라. 제가 감정 상태에 취해서 그걸 드러내려고 하면 잘 말씀해주셨다. 그때 완전히 믿고 가도 되겠다 생각했다. 편안하게 작업하시지만, 아닌 건 아니라고 말씀해주시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 포털 사이트에도 본인에 대한 정보가 아직 많이 없더라. 연기를 어떻게 시작하게 됐는지 궁금하다.

    저는 어렸을 때부터 (웃음) 왜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연기자가 꿈이었다. 그래가지고 YMCA 어린이 극단 같은 데 들어가서 활동하기도 하고 중학교 때 연극반에 들어갔다. 저희 연극반이 되게 고됐다. 중학생이었는데 방과 후에 거의 매일 모여서 연습하고 일 년에 두 편씩 공연도 올리고 정말 극단 생활하듯이 했다. (웃음) 처음엔 너무 힘들었는데 너무 좋은 거다. 공연할 때도 너무너무 재밌고 무대 뒤에서 사람들과 나누는 순간들, 같이 막 떨려 하면서 서로 막 다독이면서 무대 만들고 하는 게. '아, 나 연기를 해 봐야겠다' 해서 예술고등학교에 진학했고, 그 후로 연기를 이어서 하고 있다.

    지난 2일 열린 '밤의 문이 열린다' 언론 시사회 때 한해인, 유은정 감독, 전소니(왼쪽부터)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김수정 기자)

     

    ▶ 좋아하는 일을 경험해보고 막상 후회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업으로 삼은 건, '이게 내 길'이라는 확신이 있어서인가.

    네, 그랬었다. 연기 하나에 너무 의지를 해 왔고 연기하는 순간만큼 저를 완전하게 하는 순간은 없다고 생각했다. 허구의 인물이긴 하지만 그 인물을 만나면서 제가 배우는 게 너무 많았고 그 인물의 상태가 되면서 채워가는 과정이 너무 좋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힘들고 고된 작업도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었다. 오히려 최근 들어서야 이 시간(연기를 해 온 시간)이 너무 길어지다 보니까 '내가 계속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

    ▶ 그런 걱정을 어떻게 떨치거나 지우려고 하는지.

    여기(일)에 너무 매몰되지 않으려고 한다. 안 그러면 너무 고통스러워지니까. 항상 생각하고 친구들이랑도 얘기하는 게 '내 삶을 먼저 두어야 한다'는 거다. 예전에는 연기를 오랫동안 해 오다 보니 제 삶 속에 너무 깊이 자리를 잡아서 제 자존감과 배우로서의 자존감이 너무 일치했다. 연기하지 않을 때, 작품 안 할 때는 너무 힘들어지더라. 그럼 사람이 너무 지친다. 내가 정말 사랑하는 일이더라도 내 삶과 잘 분리해야겠다, 공백을 주는 게 중요하구나 그걸 기억하려고 노력한다. 계속해서 생각하는 게 '언제든 그만둘 수 있는 마음으로 하자'는 거다. 그렇게 하려고 노력하면 괜찮은 시간이 다가오기도 한다. 이게 반복되는 것 같다.

    ▶ 그럼 일상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꾸준히 하는 게 있나.

    다니엘 데이 루이스라는 배우가 신발 공장에서 일하는 게 꿈이었다고 해서 연기를 그만두고 그 일을 한 적이 있었다. 저한테 그게 되게 충격적이었다. 저렇게 연기 잘하는, 정말 연기밖에 모를 것 같은 배우한테 저런 꿈이 있구나. 연기를 중단할 수도 있구나 했다. 내 삶을 지키는 게 연기에도 도움이 된다. 연기하지 않을 때 일상에서 내가 뭘 할 수 있을까. 취미를 가져보자. 시간을 잘 보내는 일이 너무너무 중요하니까. 내 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시간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게 제일 중요하다는 느낌이 든다.

    게을러서 많이 안 하긴 하지만 (웃음) 운동을 하기도 한다. 그림을 그려보기도 하고, 요새는 작품 때문에 시작하게 된 건데 서핑을 종종 하고 여행도 많이 다니려고 한다. 자연을 가까이하면 경이로워지고 감사하는 마음이 생긴다. (이렇게) 채워지는 게 결국 다 연기할 때 나오더라. 지금 뭘 안 하고 있다고 해서 무너지지 말자고 생각한다. 지금의 이 삶을 더 즐기고 더 즐겁게 살아가려고 하고 다양한 감정을 누리면서 사는 게 더 좋은 일이라고 믿는다. 연기를 취미로 한다고 생각하려고 한다. 너무 사랑하는 일을 괴로운 일로 만들면 안 되니까.

    배우 한해인 (사진=황진환 기자)

     

    ▶ 준비하는 다음 작품이 있나.

    단편영화 촬영하고 있고, 올해 초에 두 번째 장편영화를 촬영했다. 그 작품도 후반 작업 중인데, 세상에 언제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기다리고 있다.

    ▶ '밤의 문이 열린다'를 기다리는 관객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해 달라.

    어… 저는 영화를 보고서, 굉장히 묘한 느낌이라고 생각했다. 굉장히 어두운데 굉장히 위로받는 지점이 있다. 하루는 수양이를 보고 울컥하고, 또 효연을 보고 너무 마음이 안쓰러워지기도 했다. 기다려주신 분들이 꽤 있으셔서 그분들한테 너무너무 감사하다. 극장에 오시는 분들께도 감사하다. 어쨌든 자기 시간을 투자해서 영화를 봐주신다는 게 너무나 감사한 일이니, 그걸 까먹으면 안 될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 마음이 전해졌으면 좋겠다. 영화가 좀 어두운 내용일 수도 있고, 보시는 분마다 보는 게 다를 수 있다. 혜정이 죽음을 통해 다시 자기를 발견하는 것처럼 삶의 작은 부분을 발견하시고 위로를 얻으셨으면 좋겠다. 내가 많은 사람과 연결돼 있고, 평범한 하루처럼 보여도 잘 살아가고 있다는 걸 느끼셨으면 좋겠다. <끝>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