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경주 월성 최고 '의례용 배 모양 목제품' 출토



문화재/정책

    경주 월성 최고 '의례용 배 모양 목제품' 출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손잡이 방패는 첫 발견"

    (사진=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월성(사적 제16호) 정밀발굴조사 중 해자 내부에서 목재 배 축소 모형 1점과 실물 방패 2점, 문서 목간 1점 등을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축소 모형 목재 배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축소 모형 배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통나무배보다 발전된 형태로 실제 배와 같이 선수(뱃머리)와 선미(배꼬리)가 분명하게 표현된 준구조선(準構造船)으로 크기는 약40cm로 의례용으로 추정된다.

    배는 약 5년생의 잣나무류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제작 연대는 4세기에서 5세기 초(350~367년 또는 380~424년)로 산출된다.

    이번에 나온 월성의 모형 배는 일본의 시즈오카현 야마노하나 유적에서 출토된 고분시대 중기(5세기)의 모형 배와 선수‧선미의 표현방식, 현측판(상부 구조물이 연결되는 부분)의 표현 방법 등이 매우 유사하다.

    앞으로 양국의 배 만드는 방법과 기술의 이동 등 상호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방패는 손잡이가 있는 형태로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며, 가장 온전한 실물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2점 모두 수혈해자의 최하층에서 출토됐는데, 하나는 손잡이가 있고, 하나는 없는 형태이다.

    각각 가로‧세로가 14.4×73cm와 26.3×95.9cm이며, 두께는 1cm와 1.2cm이다.

    일정한 간격의 구멍은 실과 같은 재료로 단단히 엮었던 흔적으로 보이며, 실제 방어용 무기로 사용했거나, 수변 의례 시 의장용(儀裝用)으로 세워 사용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목간은 3면 전체에 묵서가 확인됐다. 주요 내용은 곡물과 관련된 사건을 당주(幢主)가 보고하거나 받은 것이다.

    6세기 금석문(국보 제198호 '단양 신라 적성비')에 나오는 지방관의 명칭인 당주가 목간에서 등장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또한, 벼, 조, 피, 콩 등의 곡물이 차례로 등장하고 그 부피를 일(壹), 삼(參), 팔(捌)과 같은 갖은자로 표현했다.

    월성해자 내부에서는 이 외에도 호안(護岸) 목제 구조물과 다양한 유물들이 확인됐다.

    목제 구조물은 해자 호안(기슭)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로 수혈해자 북벽에 조성했다.

    수혈해자 바닥을 파서 1.5m 간격으로 나무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에는 판재로 연결했다.

    최대 높이 3m인 나무기둥과 최대 7단의 판재가 남아 있어, 대규모 토목 공사가 삼국통일 이전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신라의 목제 구조물 전체가 확인된 최초의 사례로,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복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패와 목제 배 등 이번에 공개되는 유물까지 포함해 지금까지 월성의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은 오는 5일부터 6월 2일까지 서울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열리는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 특별전에서 만나볼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정기적인 조사성과 공개, 대국민 현장설명회 등을 통해 학술조사의 새로운 장을 열어 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