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칼럼]다른 지방과 산업으로도 확산해야 할 '광주형 일자리'



칼럼

    [칼럼]다른 지방과 산업으로도 확산해야 할 '광주형 일자리'

    지영한 칼럼

    31일 오후 광주시청 시민홀에서 열린 광주시·현대차 완성차공장(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서 문재인 대통령, 이용섭 광주시장, 이원희 현대차 대표이사 등 참석자들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노사상생과 지역일자리 창출 모델로 평가받는 '광주형 일자리'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

    우려곡절 끝에 합의에 도달한 광주시와 현대차는 31일 오후 투자 협약식을 갖고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광주시가 공약을 내건 지 4년 7개월, 현대차가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지 7개월 만의 결실이다.

    지난해 협상 타결을 눈앞에 두고 무산됐던 터라 회의적인 시각이 없지 않았지만 노사민정이 대화와 양보로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번에도 '35만대 달성까지 임단협을 유예한다'는 조항이 최대 걸림돌이었지만 노사간 한발씩 물러나 조항을 유지하되 부속 결의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고 한다.

    극한대결로 치닫는 우리 노사 문화 속에서 이례적인 합의를 이끌어낸 것으로 노사관계의 좋은 사례로 기록될 같다.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기업이 낮은 임금 수준의 공장을 만들고 지자체가 기반시설과 복리후생 비용을 지원하는 상생의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다.

    앞으로 광주시는 5백 90억을, 현대차는 534억원을 투자해 광주 빛그린산업단지에 자동차 공장을 설립하고 연간 35만대의 경형 SUV를 생산할 예정이다.

    침체일로의 지방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이란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

    사실 대부분의 지방은 고용기회와 사회 인프라의 측면에서 수도권에 비해 크게 뒤처짐에 따라 갈수록 인구가 줄어들고 경기도 위축되고 있다.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 악순환의 늪에 빠져 있는 게 지방의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자리만 최대 1만 2천개가 창출되고 부품과 물류 등 연관 산업의 파급 효과까지 거둘 수 있는 '광주형 일자리'는 지역 발전에 전기가 될 게 틀림없다.

    무엇보다 청년층의 고용 창출과 제조업 분야의 활성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우려가 없지는 않다. 현대차 노조와 민주노총은 자동차 산업이 포화에 이른 상태에서 기존 업계의 일자리만 줄어들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또 시장 경쟁력을 갖출 만큼 충분한 생산물량을 확보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앞으로 노사민정 등 사업주체간 더욱 긴밀히 논의하고 대승적 자세로 풀어야 할 문제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정 협의를 통해 지역경제 위기를 극복한 독일의 슈투트가르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경제를 성장시키고 실업률을 떨어뜨린 슈투트가르트 모델처럼 광주형 일자리도 우리 경제의 활력소로 작용했으면 한다.

    동병상련의 다른 지방과 산업으로도 더욱 확산되길 기대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