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칼럼]잊어서는 안 될 김복동 할머니의 소원



칼럼

    [칼럼]잊어서는 안 될 김복동 할머니의 소원

    지영한 칼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가 2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 장례식장에 마련돼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의 상징이던 김복동 할머니가 28일밤 94살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14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8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김 복동 할머니는 수 십년간 혼자 고통과 슬픔을 감내하다 1992년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했다.

    그 뒤 27년간 고 김학순 할머니 등과 함께 나라 안팎에서 일본군의 만행을 증언하는 등 일본 정부가 철저히 감추려는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공론화 했다.

    이로써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9명 가운데 생존자는 23명만 남았다.

    피해 할머니들의 평균 나이는 91살이다. 고령으로 빠르게 유명을 달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할 한일간 과거사의 하나로 남아 있다.

    일본의 그릇된 역사 인식과 태도가 여전한데다 우리 정부의 미숙한 자세와 대응도 한몫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으로 안타깝고 부끄러울 뿐이다.

    박근혜 정부가 2015년 피해 할머니들의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은 채 맺은 '한일위안부 합의'는 여전히 많은 파장과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한일 합의 당시 유엔인권기구는 피해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영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라고 두 나라 정부에 권고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유엔기구의 권고는 구속력이 없다는 이유로 일본군 성노예 범죄에 대해 아직도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여전히 피해자들의 인권과 명예는 훼손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도 이전 정부의 한일 합의를 사실상 무효화 했지만 후속 처리 과정은 미흡하다.

    현정부의 해산 발표에도 화해치유재단의 관계자들은 여전히 공식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제대로 된 해산 절차가 없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 출연금 10억원도 일본이 협의에 응하지 않는다며 정부 예산을 세워 놓고도 반환절차를 제대로 밟지 못하고 있다.

    우리 외교부도 소극적이긴 마찬가지이다. 국제사회에서 위안부 문제를 적극 제기해야 하는데도 제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살아생전 김복동 할머니는 '일본 아베 총리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받는 것 소원이었다'고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일본 아베 총리가 어제 가진 시정연설에서 한국법원의 강제동원 판결 등 한일 현안에 대해 의도적으로 회피한 것은 실망스럽다. 외면한다고 해서 사라질 문제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역사적 과오에 대해 진정성 있게 사과해야 풀릴 수 있고,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개선도 가능하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피해자의 아픔과 요구에 중심을 두고 전향적인 인식과 태도변화를 보여줘야 할 것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