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유튜브 채널 캡처.
국방부가 광개토대왕함의 탐색레이더 가동 문제와 관련한 일본 측의 주장을 반박하는 내용의 6개 외국어 자막 영상을 준비하는 등 국제여론전을 강화하고 있다.
국방부는 조만간 일본·중국·러시아·프랑스·스페인·아랍어 등 6개 언어 자막 영상을 국방부 공식 유튜브 계정에 올릴 방침이다.
여러개 언어로 제작된 동영상을 동시다발적으로 공개해 일본 주장의 문제를 지적하고, 정확한 사실관계를 전세계에 전파한다는 구상이다.
앞서 지난 4일 국방부 공식 유튜브 계정에 게시된 한글과 영어 자막 레이더 영상은 합쳐서 조회수 200만회를 돌파하는 등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방부는 외국 언어 자막 영상을 통해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를 향해 사격통제(화기관제) 레이더(STIR)를 조사(照射·겨냥해서 비춤)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광개토대왕함은 정상적인 구조 활동 중이었으며 우리 군이 일본 초계기에 대해 추적레이더를 운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는 것이 국방부의 입장이다.
영상은 또 일본 초계기가 당시 조난 북한 선박의 수색·구조활동 중이던 광개토대왕함 500m 거리까지 접근하고, 150m 상공을 위협 비행했다는 사실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당시 함정 승조원들이 소음과 진동을 강하게 느낄 정도로 위협적이었다는게 군의 설명이다.
한편 일본 방위성은 지난 5일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한 입장을 통해 "한국 해군의 '광개토대왕' 구축함에서 해상자위대 소속 P-1 초계기에 대한 화기 관제 레이더 조사는 불측의 사태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위험한 행위로, 이러한 사안이 발생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최현수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일 갈등 해소를 위한 실무차원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아직 구체화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