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저렴한데 용량까지 커…UNIST, 배터리 성능개선 기술 개발



울산

    저렴한데 용량까지 커…UNIST, 배터리 성능개선 기술 개발

    UNIST 조재필 교수.(사진=UNIST 제공)

     

    배터리에 들어가는 재료인 코발트 가격이 비싸지면서 배터리 가격이 오르고 있는 가운데 UNIST 연구진이 코발트 양을 줄이면서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정무영) 에너지 화학공학부 조재필 교수팀은 중대형 배터리 소재인 '리튬과잉 전이금속산화물'의 미세구조를 바꿔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기술은 표면 처리가 필요 없고 공정이 단순해 기존보다 배터리를 더 오래 쓸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에 들어가는 코발트 함량을 줄여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조재필 교수는 "전기차 등 중대형 배터리용 양극 소재는 가격이 싸고 많은 에너지를 담아야 한다"며 "새로운 구조의 리튬과잉 전이금속산화물은 용량이 큰 장점을 유지하고 단점을 개선한데다 코발트 함량도 최소화한 원천기술"이라고 말했다.

    리튬과잉 전이금속산화물은 1그램(g) 당 250밀리암페어(mAh)가 넘은 전기 에너지를 담는다.

    지금까지 알려진 양극 소재 중에서 방전 용량이 가장 크다.

    그 덕분에 전기 자동차(EV)나 대형 에너지 저장장치(ESS)에 적합한 양극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리튬과잉 전이금속산화물은 지속적인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작동 전압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는 배터리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데, 이 현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나 원인 규명이 아직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무질서 구조의 리튬과잉 전이금속산화물(양극 소재)를 개발한 UNIST 연구진. 사진 왼쪽부터 황재성 · 조웅래 · 진우영 석박통합과정 연구원과 명승준 박사.(사진=UNIST 제공)

     

    조재필 교수팀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리튬과잉 전이금속산화물의 미세구조를 바꿨다.

    구조적으로 안정도화가 낮은 니켈을 미세구조 내에 많거나 무질서하게 존재하도록 내부 구조를 설계한 거다.

    또 고온에서 물질을 합성해 니켈의 구조 안정화도를 더욱 낮췄다.

    제1저자인 UNIST 명승준 이차전지 연구센터(Battery R&D Center) 박사는 "무질서한 원자 배열이 산소와 전이금속 간 결합성을 높여 리튬이 지속적으로 드나들어도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켰다"며 "리튬 양이 많아져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차세대 고에너지 양극 소재로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기술로 합성한 '무질서 구조의 리튬과잉 전이금속산화물'은 기존에 비해 전압강하율이 82% 줄어들었다.

    또 현재 EV나 ESS에 주요 양극 소재로 사용되는 물질(NCM622, NCM811)에 비해 용량도 20% 이상 늘어났다.

    이 물질의 코발트 함량도 기존 소재보다 20% 이상 적게 사용돼 가격 면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했다.

    조재필 교수는 "코발트 함량을 최소화한 고에너지 밀도 양극 소재라 가격경쟁력이 확보된 데다 전체 공정이 비교적 간단해 대량생산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개발한 양극 소재는 '저가형 고에너지 밀도 소재'로서 중대형 ESS에 성공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지난 1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