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세월호' 연극을 하는 게 불가능해졌다"



공연/전시

    "'세월호' 연극을 하는 게 불가능해졌다"

    [노컷 인터뷰] 연극 '셰익스피어 소네트' 구자혜 연출

    2015년부터 세월호를 기억하는 동시에 현재진행형의 참사로 인식하고자 기획초청공연을 해온 '혜화동1번지 6기 동인'이 올해는 세월호와 관련 없이 쓰인 고전을 원작으로 10주간 세월호를 이야기한다. 이 역시 세월호를 기억하고 사유하는 또 다른 방식이다. 세월호로 우리의 세계가 재구성되었듯 이전 창작물 역시 '세월호'라는 관점을 통해 재구성하는 시도이다. 공연을 마친 뒤 연출에게 직접 들은 뒷이야기들을 연재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세월호는 '그곳'에 있는데, 달라진 건 당신일지도" - 연극 '벡사시옹+10층' 윤혜진 연출
    ② "'세월호'는 기억하면서, '남은 자'는 잊지 않았나" - 연극 '행복한 날들' 송정안 연출
    ③ "그래도 사람이 사람을 먹는 일은 그만두어야" - 연극 '광인일기' 김수정 연출
    ④ "계속 시도해야죠, 닿지 않고 노력만 남을지라도" - 연극 '키스' 신재훈 연출
    ⑤ "그럼에도 나는 이 절망 속에서 너를 희망한다" - 연극 ' 숲에 이르기 직전의 밤' 송경화 연출
    ⑥ "보는 법을 배우면, 이 무너진 현실을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 연극 '말테' 유수연 연출
    ⑦ "세월호 이후 한국사회를 변화시킨 힘, 그것은 인간애" - 연극 '한여름 밤의 꿈, 너머' 백석현 연출
    ⑧ "'세월호' 연극을 하는 게 불가능해졌다" - 연극 '셰익스피어 소네트' 구자혜 연출
    (계속)

    연극 '셰익스피어 소네트' 중. (사진촬영 이강물)

     

    세월호를 이야기하자고 한 연극 '셰익스피어 소네트'를 준비하던 연출과 배우들은 연습 중 '세월호를 이야기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여기는 당연히, 극장'의 구자혜 연출과 배우들 이야기이다.

    세월호 참사에 많은 시민이 아파했듯 이들 역시 그러했다. 그래서 광장과 목포신항을 찾아갔고, 청문회도 봤다. 올해 참사 4주기가 되기까지 이들은 세월호를 다루는 공연을 4번 올렸고, 이번이 5번째 공연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왜 그런 생각이 들었을까. 이에 대해 구 연출은 "세월호 참사의 당사자가 아닌 '우리'는 어느새 일상으로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자신이 연극으로 하는 세월호 이야기가 '허위'나 '위선' 같다는 고민에 빠졌다.

    어떤 일이 있었는지 구체적인 사례는 듣지 못했다. 하지만 그의 고민이 남달리 느껴지지 않은 점은, 한 줌의 양심과 사회의식으로 마스터베이션을 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나 자신의 고민 때문이다.

    나름 내린 결론은 있지만, 그것이 정답인지도 모르겠고 이 자리에서 말하는 것도 주제 넘다. 다만, 개인이 내린 결론과는 별개로, 이 고민은 '평생을 계속 계속 생각해야 하는 문제, 그런데 정답이 없는 문제, 그럼에도 생각을 포기해서는 안 되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연극 '셰익스피어 소네트' 중. (사진촬영 이강물)

     

    답지는 하나가 아닐 것이고, 그 답지를 자신의 결론으로 정하는 것은 고민하는 모든 개인 몫이다. 그런 의미에서 9일 공연 후 진행된 '토요 토크'에서 게스트로 참여한 김일란 감독의 이야기는 비슷한 고민을 하는 이들에게 위로가 되는 여러 답지 중 하나였을 것으로 보여, 여기에 소개한다. (출처 : 페이스북 페이지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중)

    "사회적 참사나 개인적 고통을 겪었을 때, 4년째가 가장 힘들다는 글을 트라우마 관련 책에서 본 적이 있다. 사고 당시에는 갑작스러운 불행에 대해 많은 사람이 공감, 이해해준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일상이 되고, 드라마틱했던 순간이 점차 흐릿해지기 시작하는 4년쯤이 되면, 그 고통의 의미가 당사자에게는 더 확연히 나타난다. '아, 내 삶이 변했구나, 내 삶이 없구나, 더 이상 만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구나'를 비로소 피부로 실감한다. 그런데 다른 이들은 너는 왜 아직도 그 고통에 빠져있니, 빨리 헤어나와야지 재촉한다. 나는 아직 거기 있는데, 나만, 나의 일상만 거기에 있고, 그 의미를 알고 정신을 차렸는데, 남들은 '4년이나 흘렀잖아'라고 말하는 간극.(중략)

    연출이 '과연 예술이 사회적 참사에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고민하셨다고 했는데, 저의 답은 그것이 '가능한가/가능하지 않은가'가 아니라 '해야 한다'였다. 작품의 대사처럼 “이야기하고 싶"었다. 피해자가 느끼는 감정의 시작과 끝, 응어리를 언어로, 이야기로 만들고, 그들의 고통을 만질 수 있고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예술의 역할이고 우리의 소명이 아닐까.(중략)

    세월호 참사 당사자분들이 이 작품을 본다면, 늘 저희에게 해주는 말씀처럼 "각자 즐겁고 각자 행복한 삶을 사세요, 그래야 함께 오래 가니까. 그리고 필요한 순간, 손 잡아야 하는 순간, 언제든지 달려와 손 잡아주시는 걸로 충분합니다"라고 하실 것 같다." - 김일란_다큐멘터리 감독. 성적소수문화인권연대 연분홍치마, 4.16연대 미디어위원회. <두 개의="" 문=""> <공동정범> 감독.

    구자혜 연출. (c)sayQ studio

     

    다음은 구자혜 연출과 일문 일답.

    ▶ 이번 연극 제작 경위 궁금하다.
    = "'혜화동1번지 6기 동인'이 세월호를 주제로 한 기획초청공연을 올해로 4년째 하고 있다. 우리(여기는 당연히, 극장)에게 이번 공연은 5번째 세월호 무대이다. 이 정도면 우리 관점이 확실해져서, 이번 기획을 잘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배우도 나도 연습 중에 못 하겠다는 소리가 나왔다. 세월호에 링크가 될지 도무지 모르겠고, 세월호 연극을 하는 게 불가능해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태까지 했으면서."

    ▶ 왜 그랬을까.
    = "우리는 세월호 참사의 당사자가 아니다. 일상은 원복됐다. 그러니 세월호로 우리 일상이 재구성된 게 정말 맞는가 하는 고민이 생겼다. 솔직히 말해, 나는 지금 사는 게 기쁘고 행복하다. 이런 내가 지금 대한민국에서 세월호의 위상이 어떻다고 이야기하는 게 허위같았다. 관객과의 태도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했고, 그래서 관객과 같은 위치에서 만들어보자고 급선회했다."

    ▶ 원래 기획했던 공연은 뭔가.
    = "정권이 바뀌고도 세월호 사태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상황을 지적하고자 했다. 물론 남북정상회담 등 기쁜 소식도 많았다. 나 역시 도래할 미래로 그 순간은 행복했다. 그러나 세월호는 인양되긴 했지만, 여전히 진상규명 등이 원점인 상황이다. 이같이 동시대 거대 평화 이데올로기의 위선에 대한 개념적인 공연을 하고 싶었다. 그런데 우리가 뭘 가르치려 한다는게 관객을 낮게 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작은 극장에까지 굳이 '세월호'라는 타이틀을 단 공연을 보러 오는 사람들이 보통 분들도 아닐텐데. 이미 세월호에 대해 많이 알고 아파하고, 동참한 사람들일텐데."

    연극 '셰익스피어 소네트' 중. (사진촬영 이강물)

     

    ▶ 무대 구성이 독특하다. 보통 무대 한 곳을 바라보게 하는 객석의 시선을 네 군데 이상으로 분리했다.
    = "사실 요즘 고민하는 게 '몰입을 왜 해야 하지', '관객이 왜 모든 걸 동일하게 봐야 하지'이다. 우리가 보는 것은 늘 부분이다. 누구도 전체를 볼 수 없다. 나는 세월호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왔고, 그만큼 고민도 해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막상 공연을 올리려고 하니 결국 아무 것도 알 수 없었고, 과연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지 의문이 생겼다. '이제 아무 것도 모르겠다'는 그런 의도를 담아 객석 구조를 꾸몄다."

    ▶ 무대에서 배우들이 대사로 읊은 시는.
    = "세월호 참사 희생자인 고(故) 신호성 님의 시 '나무'이다. (<금요일엔 돌아오렴="">(창비, 2015)에 수록) 첫 기획초청공연 때도 이 시를 썼었다. 원래는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로 작업을 해야하니까 열심히 읽었다. 그걸 기반으로 내가 작문도 했다. 연극적으로는 사용하기 좋은 작문이 나왔다. 그런데 신호성 님의 시가 모든 것을 압도했다. 우리는 예술로 도달하려 했다가, 진짜 시 앞에서 참패했다. 어쩌면 이를 고백하는 연극 같다.

    ※ 9주차인 이번 주에는 '배우에 관한 역설'가 6월 14일부터 17일까지 대학로 혜화동1번지에서 공연한다. 1만 원~1만 5000원.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