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조선업 수주절벽·지진에 포항·경주 경제 '직격탄'



포항

    조선업 수주절벽·지진에 포항·경주 경제 '직격탄'

    [연말특집④] '장기불황 늪' 빠진 경북동해안

    포항영일만항 전경(자료사진)

     


    포항CBS는 다사다난했던 2016년을 되돌아보는 연말 기획특집을 마련했다. 네 번째 순서로 불황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지역 경제의 현실을 살펴봤다.

    2016년에도 세계경제는 '불황'이라는 키워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2008년 미국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는 7년 이상 성장률 저하와 교역 감소, 높은 실업률로 인한 장기 불황에 빠져 있는 것이다.

    포항의 철강과 경주의 관광으로 대표되는 경북동해안 경제도 상황은 마찬가지.

    특히 조선업의 수주절벽과 건설업 부진 등이 맞물리며 철강이 주력인 포항지역 경제는 직격탄을 맞았다.

    포항철강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 9월을 기준으로 철강공단 전체 근로자 수는 1만4천822명으로, 2년 전인 2014년 10월의 1만6천176명보다 8%(1천354명) 이상 감소했다.

    공단 내 271개 업체, 343개 공장 중 17개사 19개 공장이 휴업이나 폐업 상태고 부도가 나 경매절차를 밟고 있는 곳도 10여 곳이 넘는다.

    포항철강공단의 생산액도 계속 줄어 지난 7월까지 6조8천35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7%나 낮아졌다.

    지난해 동국제강이 포항 후판공장을 폐쇄하고 당진으로 공장을 옮긴 이후 지역 경제의 활력은 더욱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지역발전을 이끌 촉매제로 기대됐던 국가산업단지 블루밸리도 아직까지 입주기업을 찾지 못해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해 창사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던 포스코가 올해 3분기 1조34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4년 만에 분기 영업이익 '1조 클럽'에 재진입한 것이 위안거리다.

    동궁과 월지 야경(자료사진)

     


    관광산업이 중심인 경주지역 경제도 어렵기는 마찬가지.

    지난 9월 발생한 강진의 여파로 국내외 관광객이 큰 폭으로 줄며 지역 경제의 주름살은 깊어졌다.

    경주 경제를 떠받치는 또 다른 축인 자동차부품의 경우 올해는 예년 수준의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내년부터 미국의 보호무역이 강화될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주시가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올해도 인구가 감소했고 고령화율도 높아지고 있어 지역 경제의 활력이 계속 떨어진다는 점도 문제다.

    한수원이 본사를 경주로 이전한 이후 다양한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마련했고, 유관기업이 경주로 이전하는 중이어서 원전산업이 지역경제의 또 다른 축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는 기대감은 호재다.

    그러나 중국의 성장률 둔화와 미-중의 통상마찰 우려 등 경북동해안지역 경제를 짓누르는 대외적 요인은 여전해 앞으로의 전망도 그리 밝지만은 않다.

    특히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내세운 트럼프가 대통령에 취임할 경우 철강 등에 대한 추가 관세부과가 예상돼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포스텍 박성진 교수는 "지역 경제가 한 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지역이 가진 다양한 연구 인프라를 이용해 신약개발에 나서고 '제로에너지타운 실증단지'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에듀케이션 테마파크'를 조성해 청년들의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수도권 비즈니스 허부 구축에도 나서 활력이 넘치는 지역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