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뒷거래·뇌물로 얼룩진 재개발 사업

인천 주택재개발지역 (자료사진)

 

인천지역 주택재개발사업이 시작도 되기 전에 업체와 조합 간부들이 뒷거래하는 등 비리와 뇌물로 얼룩지면서 주민들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재개발 공사비를 올리고 업체선정을 대가로 돈을 받은 인천 부평 5구역 조합장 등이 구속됐다. 또 부평 삼이구역과 산곡구역도 시공업체 선정 대가로 업체로부터 뇌물을 받은 조합장과 업체들이 형사처벌됐다.

이처럼 인천지역 곳곳에서 재개발사업을 둘러싸고 고질적인 크고 작은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재개발비리가 드러난 곳 대부분지역에서는 사업 단계마다 교묘한 방법으로 뇌물이 오가고 부정한 뒷거래가 있었다.

한 수사 담당 형사는 "업체가 시공권 등을 따내기 위해 조합 측과 은밀히 접촉해 부동산 매매대금이나 돈을 빌려주는 방식으로 뇌물을 주고받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업체 선정의 전권을 쥔 조합장은 미리 짜고 업체에 유리한 조건을 맞춰주고 업체는 실적을 허위로 조작해 사업권을 따냈다.

부정한 뒷거래는 대부분 타 지역에서 온 업체들에 의해 이뤄졌다.

서로 잘 아는 지역 업체보다는 전혀 모르는 상대가 뇌물을 주고받기 편했기 때문이라는 것.

자료사진

 

인천의 한 설계회사 관계자는 "재개발 조합장과 간부들이 지역(인천)업체보다는 서로 잘 모르는 타 지역 업체에 '리베이트(뒷돈)'를 요구하기도 쉽고 업체들 역시 이를 악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이들은 재개발사업이 시작되면서부터 사무실과 조합운영비는 물론, 조합 간부들에게 뇌물을 줘가며 업체 선정을 위한 전방위적으로 로비전을 펼쳤다.

이런 가운데 일부 지역 업체들까지 원정업체의 사업권 따내기에 합세해 브로커 역할은 물론, 조직폭력배를 동원, 경쟁업체와 조합원들에게 협박과 폭력도 서슴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조합간부들과 조합원 간에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면서 사업비 부담도 늘어나고 있다.

헌 집을 허물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주택재개발사업. 부정한 돈거래로 얼룩지면서 애꿎은 주민만 피해를 보고 있다.

0

0


고독 死각지대, 고립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