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3년 연속 5·18기념식 찾은 尹…올해도 유가족과 함께 입장



대통령실

    3년 연속 5·18기념식 찾은 尹…올해도 유가족과 함께 입장

    尹대통령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
    5‧18 유가족, 유공자 후손들과 나란히 걸어가며 손 잡고 입장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온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미래…오월 정신 계승"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유족 및 후손들의 손을 잡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유족 및 후손들의 손을 잡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44주년을 맞은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보수정부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취임 이후 3년 연속으로 5·18에 광주를 직접 찾은 것이다. 역대 모든 대통령을 통틀어서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두 번째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유가족 등 5·18민주화운동 관계자들과 기념식장에 동반 입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검은 정장에 넥타이를 맨 차림으로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 입구에서 5·18유공자 후손들과 함께 유가족 대표들을 태운 버스를 기다렸다. 이후 윤 대통령의 오른편에서는 '오월의 어머니'들이, 왼편에서는 교복을 입은 학생 등 5·18민주화운동 후손들이 나란히 서서 '민주의 문'을 통과했다. 윤 대통령은 걸어가면서 양옆에 선 이들의 손을 잡기도 했다.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장, 5·18민주유공자 유족회장 등 다른 5·18민주화운동 관계자들도 이에 보조를 맞췄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는 그 뒤를 따랐다.

    기념식장에 도착한 윤 대통령은 유족들 사이에 서서 애국가를 제창하고, 헌화에 이어 희생 영령을 향한 묵념에 임했다. 기념식에 참석한 학생들은 대통령과 유족 대표에게 오월의 의미를 담은 이팝나무 꽃다발을 각각 전달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진 기념사에서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5월의 정신을 이 시대에 올바르게 계승하는 일이며, 광주의 희생과 눈물에 진심으로 보답하는 길"이라며 "민주 영령들께서 남겨주신 자유민주주의의 위대한 유산을 더욱 굳건하게 지키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1980년 5월 광주 5월의 정신은 지금도 우리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다"며 "다시 한번 우리 모두의 힘을 모아 5월 민주 영령들의 큰 뜻을 실천하고 자유와 번영의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 가자"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후 '오월의 어머니'들과 손을 맞잡고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지난 2022년 5·18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보수 정부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한 바 있다. 이듬해 기념식에선 정부 측 주요 인사들과 함께 입장하는 관례에서 벗어나 '오월의 어머니' 15명을 '민주의 문'에서 직접 맞이한 뒤, 동반 입장해 헌화 및 분향을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을 마친 뒤 국립 5·18민주묘지 1묘역에 안장된 고(故) 박금희, 고 김용근, 고 한강운 유공자의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이날 기념식엔 최상목 경제부총리, 이주호 사회부총리, 강정애 보훈부 장관 등을 비롯해 국민의힘 황우여 비대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와 황운하 원내대표,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와 양향자 원내대표 등이 참석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