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극장은 술집, 관객은 손님, 배경음악은 금지곡'



공연/전시

    '극장은 술집, 관객은 손님, 배경음악은 금지곡'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⑮] 극단 산, 윤정환 연출

    예술계 검열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그래도 전에는 논란이 생기면 검열이 잦아들곤 했는데, 현 정부에서는 더욱 당당하게 자행됩니다. 분노한 젊은 연극인들이 반기를 들었습니다. 검열에 저항하는 연극제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를 5개월간 진행하겠답니다. 21명의 젊은 연출가들이 총 20편의 연극을 각각 무대에 올립니다. 위축되지 않고, 당당하게 작품으로 자기들의 목소리를 내려는 연극인들의 이야기를 CBS노컷뉴스가 시리즈로 보도합니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검열이 연극계 판을 분열시키고 있다”
    ② “비논리적인 그들의 검열 언어, 꼬집어줄 것”
    ③ “포르노 세상에서 검열이란”
    ④ “검열, 창작자만이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
    ⑤ “검열을 '해야 된다'는 그들…왜 그럴까”
    ⑥ “의심하고,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
    ⑦ “'불신의 힘', 검열 사태 이후 나에게 하는 살풀이”
    ⑧ “갈수록 검열은 교묘해지고, 그들은 뻔뻔해지네”
    ⑨ “그들은 우리 기억에서 '세월호'를 지우려 했다”
    ⑩ “국가는 '이반 검열'에 어떻게 개입했을까”
    ⑪ ‘대학로 삐끼’를 통해 느끼는 검열 현실
    ⑫ '귀 밑 3cm 두발 자유'는 정말 '자유'였을까?
    ⑬ 만약 '검열'이 내게 닥친 일이었다면, 내 선택은?
    ⑭ “태어나면서부터 내재된 자기검열의 벽…균열 가해야”
    ⑮ '극장은 술집, 관객은 손님, 배경음악은 금지곡'
    (계속)

    극단 산, 윤정환 연출. (사진=유연석 기자/노컷뉴스)

     

    "집으로 가다 편하게 들어가는 술집처럼, 관객이 편안하게 찾아와 극장에서 이야기 나누면 좋겠다."

    공연이 진행될 극장은 술집이 될 것이다. 공연으로 보러온 관객은 술집을 찾아온 손님이다. 술집처럼 음악이 나오는데, 모두 검열이 심했던 1970~80년대 금지곡들이다.

    손님(관객)들은 테이블에 앉아 술을 마시면서 편하게 이야기를 나누면 된다. 실제로 술집에서 그러지 않던가. 뭔가 주제가 하나 잡히면 논리적이든 비논리적이든 그냥 막 이야기를 하지 않나. 그러다 기분이 좋아지면, 노래도 부르고, 기타도 튕기고, 시도 낭송한다.

    검열에 저항하는 젊은 연극인들의 축제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의 9월 첫 공연 '그때 그 사람'의 윤정환 연출은 그런 선술집 같은 공연장을 준비 중이다.

    그는 "'검열'이라는 키워드가 안 그래도 무거운데, 공연까지 무거워서야 되겠느냐"며, 관객들에게 편안히 와서 이야기하고, 또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기도 하는 자리를 마련해보고 싶었다고 한다.

    실제로 술도 준다고 하니, 이번 주에는 연우소극장에서 한 잔하는 것은 어떨까. 공연 '그때 그 사람'은 오는 9월 1일부터 4일까지 서울 종로구 대학로 연우소극장에서 진행된다.

     

    ▶ 극단 산을 소개해 달라.
    = 극단 산은 2002년부터 활동했다. 20명 정도 단원과 함께하고 있고, 1년에 1-2편의 작품을 공연한다.

    ▶ ‘그때 그 사람’이라는 작품은?
    = 우리 모두가 시간이 지나면 ‘그때 그 사람’이 될 사람들이다. 그래서 지금 현재가 더 소중하다. 내 과거가 행복했으면 좋겠다. 편하게 떠올릴 수 있는 추억이었으면. 제목인 ‘그때 그 사람’은 극중에서 공간적으로 선술집이고 말 그대로 지난 시간 속의 누군가 이다. 그런 취지에서 ‘그때 그 사람’은 시간과 공간을 담고 있다.

    극 중에서는 선술집 이름이다. 누구나 집으로 들어가다가 그날의 피로를 풀 수 있는 공간으로 설정했다. 관객이 출연자이자 손님이다. 즉흥으로 연극 공연, 노래, 연주, 시 낭송, 심지어 싸움 등 벌어진다. 그런 자유로운 공간에서 서로 터놓고 이야기를 하자는 취지이다. 요즘은 인터넷 등에서 익명으로 활동하는데, 내가 누구다 밝히고 자기 생각을 떳떳하게 이야기했으면 했다.

    게스트도 있다. 회차별로 게스트가 다르니 기대해도 좋다.

    ▶ 어떤 게스트가 특별출연하나.
    = 70년대 대학로 이야기를 해주실 교수님도 있고, 연출가,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의 김수희 예술감독도 출연한다. 그리고 현직 변호사도 출연하는데 변호사는 공연 후 법률 상담도 해줄 예정이다.

    ▶ 관객이 출연자이자 손님이라고 했다.
    = 관객이 술집에 왔다고 생각하고 편하게 이야기하고, 노래도 부르면 좋겠다. 시를 제공해 주면 시를 읽어도 줄 것이다. 공연을 준비하는 우리의 바람은 이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가 우리만의 축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많은 이들이 편하게 와서 즐겼으면 한다. 연극계와 무관한 사람이 와서 ‘아, 연극계는 이런 고민을 하는구나’를 알았으면 한다. 우리랑 생각이 다른 분도 와서 터놓고 이야기했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 어디로 튈지 모를 즉흥극이 될 것 같아 준비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
    = 각본이 짜여 있지 않고, 경우의 수를 연습 중이다. ‘이런, 저런 질문 나오면 어떻게 할래’ 하며 배우의 즉흥성을 키우는 토론을 한다. 그렇다고 아무런 준비가 없지는 않다. 공연을 끌고 가는 흐름과 콘티가 있다.

    극 중 나오는 음악은 금지곡이다. 시가 있다고 했는데 그것 역시 예전 공권력이나 탄압받던 시인들의 시다. 공연 중에는 현재 우리들의 다양한 생각과 모습을 상징, 대변하는 연극을 무대에 올리기도 한다.

    극단 산, 윤정환 연출. (사진=유연석 기자/노컷뉴스)

     

    ▶ 공연을 통해 전했으면 하는 메시지가 있나.
    = 검열, 공권력 탄압은 안 된다는 인식에서 이번 페스티벌이 출발했다. 이건 우리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해당된다. 노무현, 김대중 정부 때도 정권에 반대하는 공연이 있었지만, 못하게 하지는 않았다. 이런 식으로 정부가 국민에게 못 하게 하는 행태가 자행된다면 언젠가 우리 후배들 아이들은 이게 문제인지도 모르게 될 것 같다. 이게 더 무서운 일이다.

    검열이란 헌법에 나와 있듯이 정부의 개입이 가장 큰 문제이다. 사상을 통제하는 것이니까. 검열이 생각, 생활, 의식 등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작용되면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우리가 로봇이 될지도 모른다.

    ▶ 지난해 검열 사건은 어떻게 봤나.
    = 아주 안 좋게 봤다. 그나마 이렇게라도 얘기해야 하지 않을까 해서 행동하는 건데, 이번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 아니었으면 유야무야 넘어갔을 것 같다. 혼자 뭘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발기인들 덕에 다른 동료 연출들에게 좋은 기회가 온 것 같다.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 검열이라는 단어가 무거운데, 공연들은 안 무거웠으면 한다. 공연이라기보다, 이 검열 이슈를 오신 분들과 공유하는 자리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각자 생각할 거리를 가졌으면 한다. 무언가 주입하려 하지 말고, 편안하고 즐거운 장이 되면 좋지 않을까.

    ☞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 '그때 그 사람' 예매하러 바로 가기 {RELNEWS:right}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