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공연/전시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노컷 리뷰] 프로젝트 내친김에, '광장의 왕'

    검열에 저항하는 젊은 연극인들의 페스티벌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가 대학로 연우소극장에서 진행 중입니다. 6월부터 시작해 5개월간 매주 1편씩, 총 20편의 연극이 무대에 오릅니다. CBS노컷뉴스는 연극을 관람한 시민들의 리뷰를 통해, 좁게는 정부의 연극 '검열'부터, 넓게는 우리 사회에 알게 모르게 뿌리박힌 모든 '검열'의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리뷰 순서="">
    1. 우리 시대의 연극 저널리즘 / '검열언어의 정치학 : 두 개의 국민'
    2. 포르노 시대 한가운데에 선 나를 보다 / '그러므로 포르노 2016'
    3. 그들이 ‘안티고네’를 선택한 이유 / '안티고네 2016'
    4. 주장이 구호가 안 되게 서사의 깊이 보장해야 / '해야 된다'
    5. 2016년 우리는 <김일성 만세="">를 볼 수 있는가 / '자유가우리를의심케하리라'
    6. 불신, 이래도 안 하실 겁니까? / '불신의 힘'
    7. 그는 검열하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했겠지 / '15분'
    8.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 '광장의 왕'
    (계속)

    연극 '광장의 왕'. (제공 사진)

     

    사람은 희망을 안고 살아간다. 더 나아진 삶, 더 윤택한 삶을 앞으로 기대한다. 내가 멋진 삶을 이루지 못한다면, 내 다음 세대, 그리고 또 다음 세대를 위해 희망을 안고 산다. 조상대대로 그래왔다. 다람쥐 쳇바퀴처럼. 그러나 요즘 들어 ‘희망’ 이란 단어에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과연 우리의 앞날에 ‘희망’은 있는 것일까?

    7월 마지막 주, 연극 ‘광장의 왕’(프로젝트 내침김에, 연출 김정)을 통해 ‘희망’을 울부짖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광장의 왕’은 원래 러시아 작가 알렉산드로 블로크가 러시아 혁명을 주제로 만든 희곡인데, 현재 우리 시대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연극으로 각색했다. 2016년 판 대한민국의 ‘광장의 왕’인 셈이다.

    연극이 시작됨과 동시에 스산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바닥엔 ‘잘살아보세’ ‘미친 사람들’ ‘답답해’ 등등 관객들이 평소 하고 싶었던 말들을 연극 시작 전에 분필로 적어놓았다. 희망적인 문장은 아니었다. 현실을 도피하고 싶은 처절한 몸부림을 표현한 것이다.

    연극 '광장의 왕'. (제공 사진)

     

    극이 시작되고 다섯 명의 주인공이 한자리에 모여 한 곳을 응시한다. 그들은 ‘해’가 뜨기를 기다림과 동시에, ‘배’가 들어오기를 간절히 바란다. ‘해’와 ‘배’에 의미를 부여한다. ‘해’는 어둠이 물러가길 바라는 마음을, ‘배’는 희망 없는 현재의 세상을 벗어나고픈 욕망을 표현했다.

    극이 중반으로 가면서 왜 현재의 세상이 힘겹고 불안한지를 묘사한다. 자신이 모든 것의 진리인 양 행동하며 군중을 모략하는 ‘광장의 왕’. 그로 인해 군중들의 삶은 피폐해져 간다. 세상의 스승들은 사라지고 권력을 가진 자들은 불가능한 행복을 얘기한다. 군중을 가축 떼로 취급하며, 말을 듣지 않으면 징벌을 내릴 것이라 엄포를 놓는다. 권력자에 지친 군중들은 새 삶을 달라고, 왕은 꺼지라고 울부짖는다. 그들에게는 망명만이 살 길로 보인다.

    연극 '광장의 왕'. (제공 사진)

     

    1906년 러시아 혁명을 주제로 만든 희곡이지만, 2016년 현재 대한민국의 자화상과 굉장히 비슷하다. ‘헬조선’이라 명명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민중들은 매일 매일 희망에 찬 미래를 갈구한다.

    연극과 마찬가지로 ‘해’와 ‘배’를 기다리며 하루하루를 숨죽이며 살아간다. 그렇다면 연극에서 묘사한 권력을 가진 ‘광장의 왕’은 현실에서 어떠한가. 군중을 가축 떼로 취급했던 사실 또한 얼마 전 까지 교육부 정책기획관이었던 나향욱 씨에 의해 이미 묘사되었다.

    또한 불가능한 행복시대를 얘기하며 소문으로 군중을 사로잡는 것 또한 판박이처럼 현재와 비슷하다. 자본이 세상을 지배하고, 자본 앞에 시대의 스승은 사라진지 오래다. 2016년의 대한민국은 그 연극에서 군중들이 울부짖으며 보여줬던 모습 그대로다.

    연극을 보고 오는 내내 암울한 생각에 사로잡혔다. 바닥을 치는 경제성장률, 고공 행진하는 자살률, 혐오가 대세로 자리 잡은 인간관계, 불신의 표상이 된 정치권, 세월호와 메르스 그리고 나날이 경악스럽게 흘러나오는 비리 관련 뉴스들. 난 오늘 내 자신에게 묻는다. 이런 세상에서 살아가는 소시민으로서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 것이냐고. ‘해’ 기다리고 ‘배’를 기다려야 하는 현실을 더 참아낼 수 있냐고 말이다.

    이준수 / 작업치료사{RELNEWS:right}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