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유통업계 "김영란법, 우려는 되지만…큰 타격 없을 듯"



기업/산업

    유통업계 "김영란법, 우려는 되지만…큰 타격 없을 듯"

    "명절선물 매출 비중 낮아…공직자 등 고가 선물 거의 사라져"

     

    김영란법이 28일 헌법재판소의 합헌 결정으로 예정대로 오는 9월 28일부터 시행되게 되면서 유통업계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당장 추석과 설 등 명절 선물세트 매출 감소가 불가피해졌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김영란법 시행으로 명절선물세트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울려된다"며 "업계에서는 명절매출의 10~20% 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백화점의 경우 명절선물세트 비중은 가공‧생활필수품으로 구성된 5만원 이하 상품이 15%, 정육‧굴비‧청과 등 5만원 초과 제품은 85%로 고가 선물세트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롯데백화점은 이에 따라 김영란법 시행 전이지만 당장 이번 추석 선물세트부터 김영란법 선물허용 기준에 맞춰 상품 구성을 손질하기로 했다. 5만원 이하 상품의 품목과 수량을 30% 가량 늘리고 고가 상품은 소량으로 쪼개서 가격을 낮출 계획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한우와 굴비 상품은 5만원 이하로 단가를 맞추기는 불가능한 만큼 과일 상품을 소포장으로 바꿔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축산농가와 어민 등에게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농축수산물의 선물 수요는 최대 2조3천억원, 음식점 수요는 최대 4조2천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유통업계에 미칠 직접적인 타격은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백화점의 경우 명절선물 매출 비중이 크지 않은데다 이미 실속형으로 선물세트가 변화하면서 매출 감소는 있겠지만 큰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한 백화점의 경우 명절선물 매출이 전체의 1%에 불과하다"면서 "김영란법 시행이 백화점에 상품을 납품하는 한우농가 등에 타격을 줄 수 있겠지만 백화점에는 엄청난 악재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1~2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소포장, 차별화 상품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라며 "특히 고가 명절선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지면서 공직자와 언론인 등에 대한 고가 명절선물은 사실상 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대형마트의 경우도 명절 매출 감소는 있겠지만 심각한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고 있다. 대형마트의 경우 명절선물세트가 5만원 안팎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백화점과 달리 대형마트는 실속형 선물세트가 대부분"이라며 "한우와 굴비세트 역시 공직자와 언론인, 사립학교 교원 외에는 선물할 수 있는 만큼 김영란법 요인에 따른 급격한 매출 감소가 있을 것 같지는 않다"고 전망했다.

    다만 유통업계는 김영란법으로 선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돼 선물 문화 자체가 위축되는 것에는 깊은 우려를 표시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공직자의 부정부패를 막기 위한 김영란법 취지가 왜곡돼 선물 문화 자체가 어둡게 비쳐질까 걱정"이라며 "미국이나 유럽의 블랙프라이데이나 복싱데이에 고객들이 몰리는 것은 가족이나 지인에 대한 선물을 사기 위한 측면이 많은데 이런 좋은 의미의 선물 문화가 위축되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