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왜 김해공항으로 틀었나…"건설비, 정치적 갈등 가장 적어"



경제 일반

    왜 김해공항으로 틀었나…"건설비, 정치적 갈등 가장 적어"

    정치적 요인에 가중치 두자 김해공항 점수 급상승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 장 마리 슈발리에 수석연구원이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남권 신공항 사전조사 용역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장규석 기자)

     

    김해공항 확장안은 공항운영이나 건설비 등에서 가덕도나 밀양 등 다른 후보지보다 장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최종 결정에는 정치적인 문제도 감안됐다. '법적 정치적 도전(challenge)' 항목에 가중치를 두자 김해공항의 점수가 월등히 높아졌다.

    21일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을 수행한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은 김해공항 확장안을 최종적으로 권고했다.

    김해공항 서쪽 외곽으로 3200미터짜리 활주로 1개와 여객터미널을 새로 짓는 방안으로, 연간 최대 3800만명이 이용할 수 있는 규모다. 인천공항의 규모가 연간 5천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규모다.

    국토부 서훈택 항공정책실장은 "김해공항 확장안은 사실상 김해신공항이라고 불러도 된다"고 말했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은 이런 규모로 김해공항을 확장 건설하는데 37억8700만 달러가 들 것으로 추산했다.

    반면 비슷한 규모(연간 4000만명)로 활주로 2개짜리 밀양공항을 건설하는데는 52억9200 달러, 가덕도는 활주로를 1개짜리만 건설해도 매립비용을 감안하면 67억9400만 달러가 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결국 기존 도로나 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김해공항 확장안이 규모 대비 건설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ADPi가 제시한 김해공항 확장안. 왼쪽에 사선으로 기울어진 활주로가 새롭게 건설되는 활주로다. 푸른색 부분은 새롭게 건설될 공항 터미널. (사진=ADPi 국토부 제공)

     

    또 새로운 활주로를 사용하면 기존 활주로는 위험한 방향으로 착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현재 김해공항이 안고 있는 안전성 문제도 해결된다는 것이 국토부 측의 설명이다.

    서훈택 실장은 "김해 신공항처럼 40도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활주로를 신설하게 되면, 김해공항의 가장 큰 안전 문제인 북쪽 돗대산과 신어산으로 착륙하는 절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안전문제가 해결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첨예한 지역갈등으로 인한 정치적인 후폭풍 가능성도 평가항목에 포함됐다. ADPi는 밀양과 가덕도, 김해공항 세 곳에 대해 A, B, C 세 개의 시나리오를 두고 평가를 진행했다.

    김해공항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지만, 특히 정치적 요인(legal/polotical challenges)이 포함된 위험성과 실행가능성(Risk&Deliverability)에 가중치를 둔 시나리오C에서 김해공항 확장안이 1000점 만점에 832점을 받았다. 2위인 밀양이 710점을 받은 것에 비해 점수가 120점 이상 월등히 높았다.

    ADPi가 계산한 시나리오별 점수. 정치적인 요인이 가중치로 들어간 시나리오C에서 김해공항의 점수가 가장 높다. (자료=ADPi 제공)

     

    ADPi 장 마리 슈발리에 수석연구원은 "지역간의 견해차가 아주 컸기 때문에 갈등 문제는 잘 알고 있었다"며 "공항 건설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법적으로, 정치적으로 어떠한 애로사항이 있겠느냐를 감안했다"고 말했다. 대략 정치적인 요인은 전체 배점에서 7%가량 반영됐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결국 새로운 활주로 건설로 고질적인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공항운영이나 건설비, 접근성, 그리고 정치적으로도 가장 분란 여지가 적다는 점에서 ADPi는 밀양과 가덕도를 제치고 김해공항의 손을 들어줬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