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한국인의 슬픈 자화상

 

한국인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떠오르는 단어는 뭘까?

문화체육관광부와 다음소프트가 2011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트위터와 블로그, 온라인뉴스 등에서 약 36억 건에 이르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일상에서 떠오르는 연관어는 단연 '지치다'인 것으로 27일 조사됐다.

■키워드로 본 한국인의 일상어 1위 '지치다'

'지치다'라는 단어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 부동의 1위 연관어로 집계됐다. 현대인들의 피곤한 일상이 그대로 묻어 나온다.

'현재' '일상' '퇴근 후' '소소하다' '혼자' 등의 키워드가 의미있는 증가폭을 보였다.

'일상'에 대한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대한민국 사람들은 일상을 지치지만, 즐겁고 감사한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라는 단어가 증가폭을 보인 것은 상대적으로 미래에 대한 희망이 그리 많지 않다는 부정적인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퇴근 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람들이 '일'보다는 '휴식'에 더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소하게' '혼자' '지르는' 기쁨

'지르다' '소소하다'에 대한 언급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람들은 작은 물건을 사면서 뿌듯해하고, 자기만의 취향을 즐기는 경향을 보였다.

'지르다'는 즉흥적으로 물건을 사는 것을 의미하는데, 친구나 이웃간의 대화등 사회적인 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혼자 물건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만족을 느끼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과거에는 영화 감상, 여행, 커피 마시기 등도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했지만, 이제는 '혼자' 즐기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행태도 '원룸'이나 '소행주택' 등 1인가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정책기조 가운데는 '국민행복'이 으뜸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4대 국정기조(경제부흥, 국민행복, 문화융성, 평화통일 기반구축)와 관련해서는 '국민행복'에 대한 언급이 48%로 가장 많았다.

특히 '안전'과 '북한'이 가장 많은 연관어로 나타나, 치안과 남북관계가 안정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부흥 특히 '창조경제'에 대해서는 성장전력으로 기대는 하지만, 개념이 모호하다고 평가했다.

'문화융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희망과 기대를 나타냈고, 특히 취약계층에 대한 문화대상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