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주민에 빚폭탄만 안긴 ''용산의 꿈''



기타

    주민에 빚폭탄만 안긴 ''용산의 꿈''

    서부이촌동 6년간 거래 묶여 가구당 대출 2~3억원

    F

     

    총 사업비 31조원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채무불이행으로 사업이 중단되면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서부이촌동 주민들이 떠안게 됐다.

    용산역세권 개발 사업은 지난 2007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한강 르네상스 사업과 연계하기 위해 서부 이촌동까지 포함시키면서 용산국제업무지구로 추진돼 왔다.

    서부 이촌동 주민들은 2007년 8월 이후부터 개발 계획에 포함된 주택 등을 매입할 경우 아파트 입주권을 주지 않는다는 규정 때문에 거래를 할 수 없었다.

    이 지역 주민들은 목돈을 마련하려면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대출에 따른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헐값에 경매로 집을 내 놓는 경우가 다반사다.

    한 가구당 평균 2억~3억 원의 대출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주민들 "남은 건 상처 뿐"= 상점을 하는 상인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우편집중국, 철도기지창, 대한통운 등이 개발로 인해 다른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상권도 점점 죽어갔다.

    이 지역에서 15년 넘게 지역에서 장사를 해 온 A 씨는 "세입자인 상인들 대부분 언젠가는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하나 붙잡고 대출받아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6년 동안 지지부진하게 이어진 사업으로 이해 관계를 달리하는 주민들간의 감정의 골도 매우 깊다.

    한 주민은 "이렇게 끝날 것 같으면 왜 지난 6년 동안 물어뜯고 싸웠는지 모르겠다"며 "남은 건 이웃간의 물어뜯은 상처밖에 없다"고 허탈해했다.

    서부이촌동 주민들 가운데 일부는 6년간 주민들이 당한 고통에 대해 서울시와 코레일을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 사업확정 7년 만에 파국= 한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지난 2006년 8월 사업 확정 후 7년 만에 파산 수순을 밟게 됐다.

    13일 용산개발사업의 자산관리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 등에 따르면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59억 원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만기연장 이자를 이날 오전 9시까지 상환하지 못해 결국 디폴트에 빠졌다.

    드림허브가 부도처리면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사업주체인 코레일과 출자사, 주민 등에게 돌아가게 됐다.

    우선, 드림허브의 자본금 1조 원이 그대로 허공으로 날리게 됐다.

    드림허브에는 코레일 2500억 원, 롯데관광개발 1510억 원, KB자산운용 1000억 원, 삼성물산 640억 원, 미래에셋자산운용 490억 원 등 29개가 출자했다.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반환해야하는 토지대금 3조 원과 지급보증선 2조 4000억 원 등 총 5조 원의 손실을 입는다.

    지난해 쌓은 대손충당금 2조 7000억 원을 반영해도 총 자본 8조 원 중 2조 5000억 원이 잠식된다.

    2대주주 롯데관광개발은 회사 존립 자체 어렵게 됐다.

    롯데관광개발은 자본금의 32%에 달하는 1748억 원을 용산 사업에 투자했다.

    국민연금도 대규모 손실 위기에 처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지난 2008년 위탁운용사인 KB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을 통해 각각 1000억 원과 250억 원을 용산사업에 투자했다.

    KB자산운용은 ''KB 웰리안엔피 사모 부동산 투자회사 제1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래에셋맵스 프런티어 부동산 사모 투자회사 23호''로 이 자금을 용산사업의 시행사인 드림허브에 투자했다 이 밖에도 SH공사, 우리은행, KT&G, GS건설, 현대산업개발, 금호산업,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등도 150억~1000억 원대 손실을 입게 된다.

    ■ 천문학적 소송 뒤따를 듯= 이에 따라 용산개발 시행사인 드림허브와 코레일, 출자사, 서울시 등을 둘러싸고 책임론에 따른 대규모 소송전이 불가피해 보인다.

    사업이 무산되면서, 출자사와 시행사, 주민등을 둘러싸고 천문학적인 소송 전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