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동탄2신도시의 역습…동탄1은 '망연자실'



부동산

    동탄2신도시의 역습…동탄1은 '망연자실'

    수요자들, "헌집보다 새집이 싼데 누가사나"

    11

     

    동탄2신도시가 다음 달 분양을 앞둔 가운데 인근 동탄1신도시의 아파트 거래가 실종됐다.

    이는 동탄2신도시의 평균 분양가격이 3.3㎡당 1050만 원~1,100만 원 선에서 결정된 데 따른 것이다.

    동탄1신도시의 3.3㎡당 매매 가격은 지난해 연말까지 1,227만 원대를 유지하며 안정세를 유지했으나 연초 이사철이 끝난 후 지난 5월에는 1,214만 원까지 하락했다.

    수도권 최대 규모의 신도시인 동탄2신도시가 다음 달 분양되기 때문에 역풍을 맞게 된 셈이다.

    특히 동탄2신도시는 정부의 '5·10 주택거래 정상화 방안'에 따라 계약 후 1년이면 자유롭게 분양권을 사고팔 수 있어, 동탄1신도시에 대한 구매력이 급격히 줄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동탄1신도시 아파트 매매가격의 하락폭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부동산1번지 등 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 이후 5개월간 동탄1신도시 일대 아파트 매매 가격은 1.08%나 하락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 평균과 동탄을 제외한 화성 일대는 각각 0.09%, 0.35% 하락하는데 그쳤다.

    실제로 반송동 솔빛경남아너스빌 152㎡의 경우 올해 초 6억~7억 원을 호가했으나, 5억 5,000만 원~6억 원의 시세를 형성하고 있어, 7천 500만여 원이 내린 상태다.

    또 능동 숲속자연앤데시앙 95㎡도 연초보다 3,000만 원이 내린 2억 7,000만 원~3억 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가격 하락과 함께 동탄1신도시 일대 아파트 거래량도 급격히 줄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1~3월까지 평균 75건의 거래량을 보였으나 4월들어 11건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3월 84건과 비교해도 13%수준으로 하락한 것이다.

    청약을 준비하고 있는 A씨는 “동탄2신도시 분양이 가까워지면서 매수 문의가 눈에 띄게 줄었다”며 “기존 시세보다 분양가가 100만여 원이나 저렴한데 누가 헌 아파트를 사겠냐”고 반문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도 “동탄2신도시의 주택 수요는 수원 일부 지역과 화성지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면서도 “확장성이 큰 신도시인 만큼 입주가 임박해지면 주택시장에 끼치는 영향이 인접지역으로 확산될 여지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동탄2신도시 6월 분양예정 물량은 5,500가구이며 연말까지 5,700가구가 추가로 공급될 예정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