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고엽제 폭로 하우스 "캠프캐럴 가면 찾을 수 있어"



국회/정당

    고엽제 폭로 하우스 "캠프캐럴 가면 찾을 수 있어"

    adf

     

    미군기지 '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을 처음 제기했던 전 주한미군 스티브 하우스씨가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매립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증언했다.

    미군측 진입 허가를 기다리고 있는 하우스씨는 캠프캐럴에 직접 가보면 매립장소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우스씨는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고엽제 국민대책위가 공동주최한 이날 증언대회에서 "캠프 캐럴에서 중장비 기사로 근무하면서 1978년 2월부터 6개월간 일주일에 2~3회 헬기장 뒤 D 구역에 참호를 파고 외부에서 들어온 드럼통 수백개를 매립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말했다.

    하우스씨는 또, "'화학물질, 형태:오렌지' '1967년' '베트남'이라는 글씨가 쓰인 드럼통은 녹슬거나 용액이 새고 있었고, 매립 기간에 나를 비롯한 동료들은 피부 발진과 심한 기침을 겪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매립이 끝나고 6개월 뒤에 현장을 방문했는데 주변 산등성이 채소들이 모두 죽어 있었고 새와 토끼, 다른 동물들도 떼죽음을 당했었다"고 증언했다.

    특히 논란이 일고 있는 고엽제 매립 위치와 관련해서 "미군이 조사하는 지역과 내가 말한 지역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내가 캠프 캐럴을 방문하면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다"며 매몰 당시 참호를 찍은 사진들을 관련 자료로 제시했다.

    증언을 이어가던 하우스 씨는 당시 후유증으로 당뇨병, 녹내장, 피부 발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을 앓고 있다고 밝히고 "내게 남은 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다. 고엽제에 노출된 미국인과 한국인들은 이제 진실을 들을 자격이 있다"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하우스 씨와 함께 방한한 육군 대위 출신 필 스튜어트 씨는 1968~1969년 캠프 피터슨과 캠프 이선 앨런에서 복무 중에 '에이전트 오렌지(고엽제)'를 부대 안팎의 차도와 인도, 임진강 선착장 주변에 살포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이 배수로의 물은 근처 개울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었기 때문에 고엽제가 지역 마을로 흘러 들어갔으리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마을 주민들이 이 개울에서 빨래를 하거나 목욕을 하는 것도 흔히 볼 수 있었다"고 말해 민간인 피해를 암시했다.

    특히, 스튜어트씨는 6,70년대 한국에서 복무한 퇴역 주한미군을 수소문해 3백여명과 연락을 취했으며, 비슷한 경험을 한 2백여명의 진술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퇴역 군인들과 접촉하고 있다는 그는 "고엽제 살포는 한국 전역에서 일어났을 것"이라며 "미군 당국은 한국 내의 에이전트 오렌지와 기타 맹독성 제초제의 저장, 운송, 살포, 폐기에 대해 완전한 진실을 밝히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미군 측의 허가가 떨어지면 27일 하우스씨와 경북 칠곡 캠프 캐럴을 방문해 현장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