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설]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 개최, 이제부터 시작이다



칼럼

    [사설]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 개최, 이제부터 시작이다

    DDD

     

    세번째 도전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이 강원도 평창으로 정해졌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동계와 하계올림픽, 월드컵 축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4대 스포츠 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그랜드슬램' 국가가 됐다.

    동계올림픽은 우리나라의 국격을 높이는 것은 물론 우리나라가 또 한차례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효과는 지난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 월드컵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림픽 유치에 따른 생산유발 효과는 20조원을 넘고 부가가치 유발액도 8조원이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창출 효과는 23만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다 간접적인 효과까지 감안하면 경제적 효과는 최대 65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추산이다.

    국민화합을 꾀하는 '축제의 한마당'도 마련해줄 것이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강원지역 개발을 활성화시켜 국토의 균형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같은 장밋빛 전망을 현실로 만들려면 산적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철저한 경제적 손익을 계산하지 않고 사업을 추진할 경우 사후에 지역과 국가 경제에 엄청난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

    기존 개최지 사례를 볼 때 빙상장과 봅슬레이, 스키점프 등의 시설은 대회가 끝난 후 엄청난 관리비용을 감당못해 버려진 시설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102억엔의 흑자를 기록했음에도 10여년이 지난 현재 개최 도시가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밴쿠버는 준비 과정에서부터 예산 부족으로 IOC의 지원을 받더니 결국 50억 달러 이상 적자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미국의 작은 소도시였던 레이크플래시드는 두 차례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후 세계적인 휴양지로 탈바꿈해 연 2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몰려들고 있다.

    릴레함메르 역시 당시 인구 2만 명이 조금 넘는 산골 마을이었지만 4000억 원 이상의 흑자를 기록했고 올림픽 이후 세계적인 관광지가 됐다.

    평창동계올림픽도 이 같은 성공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우리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야 한다. 신규시설 투자를 최소화하고 내실있는 대회를 치를 수 있도록 효율적인 경제 전략을 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거 실패사례를 살펴보고 2018년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를 일회성으로 끝내지 않고 최대화하는 방안이 무엇인지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