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보호 못받는 DMZ 고엽제 환자들



기타

    보호 못받는 DMZ 고엽제 환자들

    살포군인 5700명중 16%만 후유증 인정 보훈혜택

     

    1960년대 말 비무장지대에서 고엽제를 뿌렸던 우리 군인들의 숫자는 기록에 따라서는 많게는 5만 명으로 추정된다.

    한나라당 윤상현 의원은 국방부 기록을 근거로 모두 5700명이 살포작전에 투입된 사실을 지난 3일 공개했다.

    국방부 기록은 △6군단 예하 2개 대대 △5군단 예하 5개 대대 △3군단 예하 1개 대대 △2군단 예하 1개 중대 △미(美) 1군단 예하 1개 대대 소속 장병 등이라고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최소 5700명이나 되는 고엽제 살포자들 가운데 우리 정부에 공식 등록된 고엽제 후유증 환자는 4월말 현재 384명 뿐이다.

    의증환자(후유증으로 의심되는 환자) 535명을 합하면 919명이다.

    100명 가운데 16명꼴로 후유증을 앓고 있는 셈이다.

    고엽제가 뿌려진 현장에 단지 잠시 머물렀다는 이유로 병에 걸린 미군들이 수두룩한 상황만 보더라도 터무니없이 작은 숫자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그 중에는 이미 사망한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이고 고엽제를 뿌렸겠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사자들의 반응은 딴판이다.

    이기갑(강원도 양구 근무)씨는 "고엽제 환자하면 일반적으로 월남전 참전 용사들만 생각하지 국내 고엽제 환자가 있는 줄 잘 모른다. 그러다 보니 우리들은 외톨이처럼 돼 있다. 어디 가서 어떻게 (고엽제 환자로) 신청하는지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위에서 도와주면 모르지만 혼자서 알아서 하기에는 어렵다. 그래서 억울한 면이 많다"고 덧붙였다.

    정부로부터 고엽제 환자로 판정받지 못한 채 고생중인 전우들이 많다는 게 이 씨의 주장이다.

    현재 고엽제 환자 등록 등 고엽제 환자로서의 권익을 보호받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고엽제 전우회''라는 법정 단체의 도움을 받게 돼 있다.

    그러나 고엽제 전우회가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게 비무장지대 고엽제 환자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전춘식(강원도 철원 근무)씨는 이에 대해 "월남전 고엽제 환자들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처음에는 우리도 고엽제 전우회에서 활동했지만 언제부턴가 고엽제 전우회측에서 우리들에게 (회의 등에) 안 나와도 된다고 했다"며 "월남전 고엽제 환자들은 정부에서 봐주지만 우리들은 정부고 뭐고 아무데서도 봐주지 않는다. 그게 제일 억울하다"고 하소연했다.

    현충일인 6일 집에서 현충일 기념식을 봤다는 그는 "TV를 보는데 자꾸 눈물이 나더라, 우리만 소외되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너무 착잡했다"고 말했다.

    지난 4월말 현재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월남전 참전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는 7만 6142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고엽제전우회 김성욱 사무총장은 "우리는 월남전에 25만 명이 참전했기 때문에 당연히 환자들이 많을 수밖에 없다"며 "비무장지대 고엽제 살포 숫자는 부풀려져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