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권오창 사무총장, "선진국 진입위해서는 경제권 광역화 필연적"



정치 일반

    권오창 사무총장, "선진국 진입위해서는 경제권 광역화 필연적"

    "선도사업인 뉴IT와 의약바이오를 중심으로 충청을 대한민국의 실리콘밸리로 만들 것"

    권오창

     


    대담=지영한 대전CBS 보도제작국장/정리=김화영 기자

    "대전과 충남북을 묶은 충청광역경제권을 뉴IT와 의약바이오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중심이자 실리콘밸리를 만들자는 게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의 목표다"

    권오창 사무총장이 밝힌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의 역할이다.

    이명박 정부들어 지방발전을 위해 5플러스 2 광역경제권 활성화 정책이 추진되면서 충청권의 선도산업으로 뉴IT와 의약바이오 산업이 선정됐다.

    대전충남북 3개시도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어 이같은 선도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을 이끌어 내기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해 2009년 9월 충청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가 출범했다.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 권오창 사무총장을 만나 위원회가 어떤 기관인지 출범뒤 어떤 일을 해왔고 앞으로 어떤 일들을 계획하고 있는지 들어봤다.

    ▶충청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어떤 기관인가?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수도권은 수도권대로 발전을 시키고 지방은 지방대로 광역권으로 묶어 발전시키기 위해 5플러스 2 광역경제권 활성화 대책이 추진됐다.

    지난 정부에서도 지방발전을 위해 16개 시도에 돈도 주고 사업도 만들어줬는데 지역발전과 고용창출이 이뤄져 인구가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충족되지 않았다.

    이에따라 전국을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과 대경권, 동남권 등 인구 500만 규모의 광역경제권으로 만들고 천혜의 자원을 가진 강원과 국제자유도시로 만들려는 제주도는 따른 분리해서 지역발전을 이루자는 5플러스 2광역경제활성화 대책이 나왔다.

    충청권은 대전과 충남.충북의 3개 시도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어 발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한 추진주체가 필요했고 2009년 9월 대전시장과 충남지사, 충북지사를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가 설치됐다.

    사무국 인원이 13명인데 3시도에서 2명씩 6명이 파견돼 있고 4명은 전문직을 채용했다.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2009년 출범뒤 오는 2013년까지 충청광역경제권 발전 5개년 계획을 세웠고 매년 세부 계획인 시행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충청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5년동안 충청광역경제권을 어떻게 발전시키느냐 하는 것이 계획의 핵심이다.

    충청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은 ''대한민국 첨단과학기술의 뉴하트''를 상징적인 하나의 중심거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거점으로 충청권의 지역혁신거점을 광역적으로 연계해 상생발전 한다는 1허브, 5대 산업발전축을 설정했다.

    허브로는 세종시를 중심으로 과학기술과 산업, 행정문화의 중심거점을 설정했고 북부지역의 거점산업단지를 연계한 첨단부품소재와 에너지산업벨트를 첨단부품소재.에너지산업 발전축으로 설정했다.

    또 남부지역은 지역특화자원 혁신거점을 연계한 녹색산업벨트를 그린산업 발전축으로 해양과 백제, 과학과 중원문화를 연계한 관광산업벨트를 문화.관광산업 발전축으로 구상하고 있다.

    이와함께 서해안은 자동차와 기계를 연계한 메카트로닉스산업벨트를 메카트로닉스산업발전축으로, 오송의 BT와 오창의 IT, 음성의 GT를 거점으로 대전과 강원, 전북을 연계한 첨단내륙산업벨트를 BIGT첨단산업 발전축으로 설정했다.

    ▶지난해 충청광역경제권 발전위원회가 한일은?

    충청권광역위가 추진하는 사업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법정업무와 비법정업무인데, 법정업무는 해마다 추진하는 것으로 위원회 개최와 자문단 구성.운영, 충청광역경제권 발전 시행계획 수랍과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사업 평가, 지역발전계획 연차보고서 작성 등이다.

    앞서 말씀 드린것처럼 지난해에는 이미 수립된 충청광역경제권 발전계획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2010년 시행계획을 수립했고 2009년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사업 평가업무를 진행했으며 2009 지역발전계획 연차보고서를 작성해 지역발전위원회에 제출했다.

    비법정업무로 충청광역경제권 광역연계협력사업을 6개 발굴해 3년동안 매년 96억원의 국비을 지원받도록 했는데 대청호반길 조성사업이 그가운데 하나다.

    또 지역산업의 현황과 산업구조에 대한 통계기반 구축을 위해 기초조사 연구도 벌여 책자로 발간했다.

    이와함께 지역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연계협력 아이디어 공모전을 벌여 접수된 41건 가운데 9건을 선정해 시상도 했다.

    ▶위원회의 성격상 3개 시도나 기초단체와의 협력이 중요할 것 같은데?

    광역경제권은 3개 시도를 배제할 수 없고 광역경제권 5개년 계획 수립이나 시행계획 수립 모두 3개 시도와 협력해야 한다.

    충청광역위는 3개 시도지사가 공동위원장으로 충청광역경제권의 상생발전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와의 소통과 협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효율적으로 잘돼야 하는데도 솔직히 대화가 잘 안되는게 사실이다.

    시도지사는 잘되는데 실무로 내려갈 수록 잘 안된다.

    이에따라 올해 역점을 두고 있는게 소통과 협력이며, 이를 위해서 3개 시도 고위정책협의회를 구성했고 충청권 기초단체와의 소통채널 구축을 위해 기초단체와의 정기적인 간담회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함께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교육위원과 시군 부단체장 모임 등을 열어서 사업설명을 했고 충청광역위 소식지로 뉴스레터를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광역경제권 구상이 다음 정부에서는 바뀌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데?

    세계적으로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의 사례를 볼때 경제단위 광역화와 지방분권이 추세인데 사실 우리는 늦었다.

    교통통신이 발달하면서 기업활동이 시군과 시도는 물론 대한민국의 경계도 넘어서고 있는데 100년동안 계속돼 온 도단위 행정은 놔두더라도 경제만은 광역으로 발전시키자는게 광역경제권 구상이다.

    광역경제권 구상은 지역별로 선도산업 2개 지정해서 그 분야에서 만큼은 해당지역이 수도가 될 수있도록 발전시키자는 것인데 이를 흩트리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일본 사람들이 주목하는게 우리가 항상 그사람들 뒤에 따라갔지만 삼성전자와 광역위원회는 앞서간다.

    다음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손대기는 어려울 것이고 시행과정에서 문제가 있으면 고치면 된다.

    ▶올해 중점을 둬서 추진할 사업은?

    과학벨트가 거점지구로 대전이 선정되고 세종시와 오송오창, 천안은 기능지구로 선정됐는데 충청광역경제권 발전계획과 들어맞는다.

    앞으로 과학벨트와 충청광역경제권 발전이 어떻게 상승효과를 낼 수 있을지를 연구하려 하는데 우선 3개 시도 연구원에 역할을 맡기고 필요하다면 중앙단위 연구기관도 불러서 하겠다.

    또 세종시 출범하면 광역시가 되는데 법을 개정해서 세종시를 충청광역경제권에 포함시켜야 한다.

    실질적으로 세종시와 과학벨트가 가진 장점을 살리고 이를 천안아산과 오송오창, 대덕특구와 연계해 발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겠다.

    이와함께 현재는 아이디어 수준에 있긴 하지만 충청권 3개시도의 접점지역인 세종시 부근 어디에 젊은이들이 마음껏 에너지를 발산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문화과학예술공간을 만들 생각이다.

    3개 시도 기획관리실장과 협의를 하고 있는데 왜 필요하냐 하면 선도산업 발전시키려면 인재육성도 해야하는데 지역인재들이 모두 수도권으로만 간다.

    얘기를 들어보니 충청에서는 문화에 대한 욕구가 중촉이 안된다고 그래서 그런 센터를 만들려고 한다.

    ▶고향에 와서 마지막 공직을 맡았는데 지역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지역의 500만 주민들과 함께 충청권을 대한민국의 첨단과학의 중심이자 실리콘밸리로 만들고 싶다. 충청광역위에 관심을 갖고 힘을 보태 주시면 열심히 하겠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