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노을공원 엘리베이터 백지화



기타

    노을공원 엘리베이터 백지화

    서울시 지난해 6월 전면취소…무리한 사업 추진하다 예산만 낭비

     

    서울시가 상암동 노을공원에 153억원을 들여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로 한 사업을 전면 백지화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19일 CBS가 용산연대를 통해 입수한 ''2010년 서울시 주요사업 추진실적''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해 6월 30일 ''노을공원 경사형 엘리베이터 및 생활전시관 설치'' 사업을 전면 취소했다.

    이 사업만을 위해 지난해 편성된 예산은 94억 7900만원. 같은 해 2월 설계용역을 실시한 지 두 달 만에 설계가 중단됐고, 결국 2개월 뒤에 전면 취소 방침이 내려졌다.

    노을공원 에코랜드 조성사업의 일환인 해당 사업은 당초 지난 3월까지 노을공원에 길이 140m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생활전시관을 설치하려던 것으로, 총 사업비로만 153억 5900만원이 쓰일 예정이었다.

    지난해 1월 서울시는 쓰레기 매립상태를 보여주는 투명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면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를 것이라며 언론은 물론 800만원을 들여 제작한 홍보 동영상을 통해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

    일부 환경단체의 반발에도 강행하던 사업을 지난해 6월 결국 자진 철회한 것은 무리한 사업이라는 자체 판단 때문이었다.

    최광빈 푸른도시국장은 "생태공원에 높이가 25m에 달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과연 적정한지를 놓고 전문가 자문을 구한 결과 애로사항이 있을 것이라는 답변을 들었다"며 "신중히 고민한 결과 사업을 접어야겠다고 판단해 시장에게 보고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서울시가 애초에 무리한 사업을 섣불리 추진하려고 했다는 것. 김정태 서울시의원(민주당)은 "서울시가 지난 2009년 경사형 엘리베이터 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벌이는데 2300여만원을 지출했고, 지난해 설계용역을 실시하는데 2억 3000여만원을 썼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지난해 편성된 예산 가운데 설계용역비 2억 3000여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예산 92억 4500여만원은 제대로 쓰이지도 못한 채 모두 불용처리된 것이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사업과 함께 추진됐던 노을카페 설치 예산 19억 2700여만원과 소리 테마파크 예산 3억원까지 포함하면 지난해 노을공원과 관련해 ''폐기처분''된 예산은 무려 111억원이 넘는다.

    손종필 용산연대 대표는 "예산을 책정할 때 담당자들이 자기 사업 예산을 더 챙기려하기보다는 실효성 있는 집행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