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천안함의 망령? 1주기에 침몰 원인 놓고 갈등 재부상



사회 일반

    천안함의 망령? 1주기에 침몰 원인 놓고 갈등 재부상

    "명백한 北소행" vs "검증 필요"…침몰 원인 시각차

    ww

     

    천안함 사건 1주기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23일, 그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침몰 원인을 놓고 논란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명백한 북한의 소행이다', '진상조사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를 놓고 여론이 양분되고 있는 것.

    이날 오후 서울 한국건강연대에서는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한명숙 전 국무총리, 함세웅 신부, 이석태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비롯한 학계와 시민단체 인사 97명이 '천안함 사건 1주년을 맞아 정부와 국회에 드리는 제언'이라는 성명을 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천안함 침몰 원인에 대한 논란이 많은 만큼 국회는 국정조사 등의 방법으로 민관 합동조사단의 진상조사 결과를 검증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한반도 주변 당사자의 참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ww

     

    참여연대 이태호 사무처장은 "우리에게 분명한 사실은 이 문제(침몰 원인)에 대한 진상 규명을 둘러싼 여러 갈등과 의문이 우리 사회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며 "이는 반드시 해결해야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반면 보수진영에서는 침몰 원인에 대해 아직도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을 '괴담자'로까지 지칭하며 깎아 내렸다.

    앞서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는 '천안함 1주기 범시민 추모위원회'가 공식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사건 1주기인 오는 26일 진행될 시민추모제 행사 개요를 발표했다.

    ee

     

    이 자리에서 추모위원장을 맡은 강근환 전 서울신학대 총장은 "우리 아들 형제들을 살해한 자에 대한 응당한 분노와 그들의 변호인으로 전락해버린 괴담자들에 대한 연민의 마음으로 추모문화제를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안함 1주기를 앞두고, 민관 합동조사단의 발표를 신뢰하며 침몰 원인이 북한의 어뢰 공격에 의한 것이라는 진영과 이에 맞서 합리적 의문 제기에 대한 압력 행사를 중단하라는 진영.

    이 두 진영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46명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불행한 사건이 안타깝게도 1년 뒤 사회갈등을 부추기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