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1인당 노동생산성 OECD국가 중 23위



경제 일반

    1인당 노동생산성 OECD국가 중 23위

    노동생산성, 일본과 비교할 때 86% 수준…업종간 격차도 뚜렷해

     

    우리나라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은 31개 OECD 국가 가운데 23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OECD 발표자료를 기초로 각국의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은 56,374 달러로 OECD 국가 가운데 23위를 기록했다.

    1위인 룩셈부르크(118,466$) 대비 47.5%, 미국 대비 58.4% 수준이며, 일본과 비교할 때 86% 수준이다.

    산업별 노동생산성의 경우, 제조업 취업자 1인당 실질 노동생산성 수준은 84,864$로 OECD 국가(19개국, 2008년 기준) 중 5위이며, 서비스업은 34,956$로 18위에 해당해 업종간 격차가 뚜렷했다.

    제조업은 미국 대비 82.6%, 일본 대비 111%로 높은 편이나, 서비스업은 미국 대비 44.2%, 일본 대비 62%로 크게 낮은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서비스업 생산성은 제조업 대비 41.2% 수준으로 이러한 격차는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크다.

    또 2000-2008년 평균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97%로 OECD 국가 중 5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에 미국은 1.41%, 일본은 1.42%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25.1$로 OECD 국가(30개국**, ''''09년 기준) 중 28위로 나타났다.

    1위인 룩셈부르크(73.9$) 대비 34.0%, 미국 대비 43.8%이며, 일본의 65.7% 수준으로, 1인당 노동생산성보다 더 큰 격차를 보였다.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 23위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최장 연평균 노동시간때문에 시간당 노동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2009년 주요국 연간 근로시간(OECD) : (한) 2,243, (미) 1,681, (일) 1,714, (독) 1,390

    그러나 평균 시간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4.41%로 OECD 국가(28개국) 중 2위, 슬로바키아에 이어 최고 수준을 보였다.

    이밖에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노동생산성 향상이 경제성장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BestNocut_R]

    한국의 1인당 GDP 증가율은 3.95%로 OECD 28개국 중 4위에 해당하며, 연평균 노동시간 감소를 제외하고 노동생산성, 생산가능인구비율, 고용률 등이 1인당 GDP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미국은 경제활동참가율과 취업률 저하에 따른 고용시장 악화(고용율 감소)가 1인당 GDP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은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큰 영향을 끼쳤다.

    향후 우리나라도 노동시간 감소와 저출산․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1인당 GDP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됨을 고려할 때,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