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살충제 달걀 파문…구멍뚫린 관리감독



대구

    살충제 달걀 파문…구멍뚫린 관리감독

    경북 등 전국적으로 살충제 달걀 충격이 가시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살충제 달걀 파문이 예고된 인재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구멍뚫린 방역망, 사전·사후관리 엉망 등 사태를 지켜보는 소비자의 불안감과 불신감은 클 수 밖에 없다.

    ◇ 사전관리 허술…살충제 오남용 몰랐다?

    한 산란계 농장에 산란계들이 사육되는 모습.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이번 살충제 달걀 파문으로 그동안 산란계 농장에서 광범위하게 살충제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좁은 양계장 울타리 안에서 사육되는 산란계의 특성상 진드기와 벼룩, 이 등 기생충이 기승을 부릴수 밖에 없고 이를 퇴치하기위해서는 어쩔수 없이 살충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산란계 농장주들의 하소연이다.

    올해 4월 한국소비자연맹이 닭 진드기 감염 예방을 위해 60%가 넘는 양계농장이 살충제를 사용한다는 서울대 조사 결과를 식약처에 전달한 바 있다.

    그런데도 정부 당국은 이를 애써 외면했다.

    경상북도와 시군 등 지방정부 역시 마찬가지, 살충제 사용여부에 대해 "알지 못했다"는 말만 하고 있다.

    여기에다, 친환경인증 농가의 경우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관리하는 등 관리체계마져 이원화돼 있어 부실 관리는 어쩌면 예견된 일이다.

    실제로 경북지역에서만도 살충제 달걀농장 6곳 가운데 무려 5곳이 친환경 농장으로 드러났다.

    칠곡군 관계자는 "군에서는 농약에 대한 관리를 하지않기 때문에 이번 살충제 달걀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 산란계 농장에서 어떤 살충제를 또 얼마만큼 사용하는지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며 "특히 친환경 농장은 농관원의 소관이어서 군으로서는 어땋게 관리되는지 파악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산란계 농장에서 그동안 광범위하게 그것도 독성이 있는 살충제가 사용되고 있었지만 제대로 모니터링도 이뤄지 않은 셈이다.

    ◇ 사후관리 허술…유통경로 추적 안돼?

    살충제 달걀 파문은 관리부실에 따른 예고된 먹거리 공포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사진=자료사진)

     

    살충제 달걀 파문이 퍼지자 정부와 경상북도 등은 유통 경로를 파악해 문제가 된 살충제 달걀을 전량 회수해 폐기처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과연 제대로 될까?

    경북지역만 하더라도 폐기처분해야 할 살충제 달걀은 36만여 개가 훌쩍 넘는다.

    이 가운데 농장에서 보관중인 21만여 개는 폐기처분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판매처 등으로 유통된 나머지 15만8천여 개의 달걀을 모두 찾아내 회수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경북도는 거래명세서 등을 토대로 판매처 등을 직접 찾아가는 방법으로 살충제 달걀을 회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형 할인점 등이 아닌 중간판매상에서 소매상 등을 거쳐 팔린 달걀을 일일이 확인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실제로 지역의 한 유통판매상은 "어느 달걀이 어디서 왔고 어디로 팔려나겠는지를 전부 다 알기는 어렵다"며 "이같은 현상을 아마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여기에다 살충제 달걀 문제가 불거진 지난 15일 이전에 판매된 달걀에 대한 유통경로 파악은 더더욱 어렵다.

    국민들의 먹거리 불신을 초래한 살충제 달걀 파문. 중앙·지방정부에 '관리감독 소홀'이라는 비난이 쏟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