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4만7천여명 자가격리 중…격리 이탈 75명 법적 조치"



보건/의료

    "4만7천여명 자가격리 중…격리 이탈 75명 법적 조치"

    '해외입국' 자가격리자가 3만 8500여건…전체 약 83% 달해
    격리지 무단이탈 등으로 6명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
    "현재 증가추이 볼 때 해외입국 자가격리 8~9만으로 늘어날 듯"
    전담 공무원 外 2~3배 지자체마다 여유인력 확보…"큰 어려움 없어"
    “해외입국자들은 설치율 100% 근접…국내는 60%, 의무화 검토"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자가격리' 중인 인원이 약 4만 7천명이라며, 이들 중 83%가 해외입국자들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일부터 내·외국인과 국가를 불문하고 모든 해외입국자들에 대해 '2주간 자가격리'를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또 현재 격리조치 중인 이들 중 격리장소 무단이탈 등으로 사법절차에 들어간 이들도 70여명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정세균)는 전날 오후 기준으로 현재 총 4만 6566명이 자가격리 중이라고 7일 밝혔다. 이들 중 해외에서 국내로 입국해 자가격리 중인 인원이 3만 8424명(82.5%)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나머지 8142명은 지역사회 내 확진자와의 접촉 등을 통해 자가격리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중대본에 따르면, 최근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는 격리장소 무단이탈 등 격리수칙을 위반해 경찰에 넘겨진 이들은 75명(67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된 이들도 6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현재 입국 통계를 볼 때, 해외입국으로 인해 '자가격리'에 처해지는 인원이 많게는 9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지방자치단체마다 충분한 여유인력을 확보해 추후 관리에는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범국민대책본부 이병철 격리지원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저희가 정확히 추산을 해보진 않았는데, 현재 해외입국 자가격리자 수 증가 추이를 볼 때 8만에서 9만명 정도까지 늘어날 것으로 일단 보고 있다"며 "그 이후부터는 (2주가 지나) 격리가 해제되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많아도) 8~9만 정도에서 유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희가 판단하기로는, 이 정도 인원은 지자체에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고 본다"며 "현재 자가격리자를 전담관리하는 공무원들 외에도 보통 지자체에서 여유인력들을 2~3배 정도 확보한 상황이라, (격리자 수가) 최대치로 늘어난다 해도 관리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해외입국자가 아닌 아닌 국내 자가격리 사례에서도 격리지 이탈 등이 연이어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이들에 대해서도 '자가관리'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이 격리지원팀장은 "현재 해외입국자 분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거의 100% 자가관리 앱을 (휴대전화에) 설치하고 있다. 설치하지 않으면 입국이 불허되기 때문"이라며 "다만 국내에서 발생한 자가격리자 경우엔 앱 설치율이 60%를 조금 넘기고 있는데 (대상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설치가 가능한 것이 큰 이유"라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국내에서 나온 자가격리자들의 경우에도, 앱 설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향후 19일까지 이어지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자가격리 대상자들이 격리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재차 당부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많이 힘드시고 14일 동안 집에만 머무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저희도 충분히 알고 있지만, 이는 우리 사회가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데 가장 필수적 조치"라며 "자가격리자 개개인의 적극적 참여와 협조 없이는 상당히 어렵다. 집에서 조금만 더 참으시고 자가격리 수칙을 잘 지켜달라"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